LG유플러스 직원들이 데모룸에 설치된 액체냉각장치를 살펴보고 있는 모습. [사진: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직원들이 데모룸에 설치된 액체냉각장치를 살펴보고 있는 모습. [사진: LG유플러스]

[디지털투데이 이진호 기자] LG유플러스는 초대형 인터넷데이터센터(IDC)인 평촌2센터에 차세대 액체냉각 기반 데모룸을 개소하고, AI 데이터센터(AIDC) 냉각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 실증에 돌입한다고 29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실제 고밀도 AI 연산 환경에서 냉각 성능과 안정성을 선제적으로 검증한다. 향후 GPU 성능 진화와 대규모 인프라 확장에 따른 기술적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높은 운영 효율성과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데모룸에서 진행되는 기술 실증에는 데이터센터 액체냉각 분야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버티브(Vertiv), 쿨아이티 시스템즈(CoolIT Systems)를 비롯해 LG전자,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GST) 등 국내외 주요 파트너들과 공동으로 참여한다.

실제 운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용화 검증과 기술 고도화를 추진한다. 검증하는 냉각 기술은 ▲직접-칩 냉각(Direct To Chip Cooling) ▲액침냉각(Immersion Cooling)이다. 

직접-칩 냉각은 서버에 부착된 냉각판을 통해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방식이다. 액침냉각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유가 담긴 수조에 서버를 직접 담가 발열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핵심 장치인 'CDU(Coolant Distribution Unit)'를 통해 냉각수가 서버 전반에 고르게 분배·회수되며, 전체 시스템 냉각 효율과 에너지 사용 최적화를 가능케 한다.

LG유플러스는 지난 3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 2025에서 해당 액체냉각 기술을 공개한 바 있다. 이번 평촌2센터 데모룸은 실제 R&D 테스트베드로서 냉각 기술을 실증하는 환경으로 운영한다. 

LG유플러스는 이번 기술 실증을 통해 수도권 최대 규모 데이터센터인 평촌2센터 및 건립 예정인 파주 AIDC에 액체냉각 기술을 본격 적용할 계획이다. 오는 하반기부터는 평촌2센터 데모룸을 포함한 AIDC 투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정숙경 LG유플러스 AIDC사업담당(상무)은 "이번 액체냉각 기술 실증은 LG유플러스가 고객가치 중심의 기술 혁신을 통해 도전과 도약을 이어가는 계기이자,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AI 인프라 구축을 선도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