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학개미의 힘…대외증권투자 1조달러 돌파·금융자산 역대 2위 [사진: 연합뉴스]](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5/568424_532369_4218.jpg)
'서학개미'를 비롯한 국내 투자자(개인·기관)의 해외 주식 매입이 이어지면서 우리나라 대외 증권투자가 다시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순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부채)은 외국인의 한국 증권 투자(대외금융부채) 증가로 다소 줄었지만, 작년 말에 이어 1조달러를 웃돌았다. 순대외금융자산은 한 국가의 대외 지급 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대외 금융자산·부채 현황 [사진: 한국은행, 연합뉴스]](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5/568424_532370_4250.jpg)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국제투자대조표'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말(3월 말) 기준 우리나라 대외 금융자산(대외투자)은 2조5168억달러로 집계됐다.
작년 4분기 말(2조5126억달러)보다 42억달러 많고, 최대였던 지난해 3분기 말(2조5277억달러)에 이어 두 번째 규모다.
특히 대외금융자산 가운데 거주자의 증권투자(잔액 1조118억달러)가 한 분기 사이 176억달러(지분증권 +54억달러·부채성증권 +122억달러) 불어 처음 1조달러를 넘어섰고, 직접투자(잔액 7784억달러) 역시 이차전지 관련 투자 등을 중심으로 157억달러 늘어 최대 기록을 세웠다.
대외금융부채(외국인 국내투자·1조4328억원)도 222억달러 늘었다.
비(非)거주자의 증권투자(잔액 8650억달러)가 301억달러(지분증권 +215억달러·부채성증권 +86억달러), 직접투자(잔액 2911억달러)도 41억달러 각각 증가했다.
이처럼 대외금융부채 증가 폭이 대외금융자산 증가 폭을 웃돌면서, 우리나라 순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부채)은 1조840억달러로 3개월 사이 181억달러 줄었다.
다섯 분기만의 감소지만, 작년 4분기 말 사상 처음 '대외금융자산 1조달러 흑자국' 반열에 오른 뒤 두 분기 연속 1조원대를 유지했다.
박성곤 한은 국외투자통계팀장은 "미국 증시 조정으로 거주자의 평가액은 줄었지만 해외주식 투자 자체가 늘었고, 금리 인하 기대와 안전자산 선호 경향에 따라 해외 채권 투자도 확대됐다"며 "다만 국내 주가 반등에 따른 외국인의 평가 잔액 증가와 장기 채권 중심 투자 등이 이어지면서 대외 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더 많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대외 채권·채무 현황 [사진: 한국은행, 연합뉴스]](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5/568424_532371_4355.jpg)
우리나라의 1분기 말 기준 대외채권(1조513억달러)은 작년 4분기 말보다 87억달러 줄었다. 국민연금과의 통화스와프 등에 따라 준비자산(외환보유액 총액)이 59억달러 감소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반대로 대외채무(6834억달러)는 105억달러 늘었다.
대외채권과 대외채무는 우리나라 거주자의 해외 투자에 해당하는 '대외 금융자산', 외국인의 국내 투자에 따른 '대외 금융부채'에서 가격이 확정되지 않은 지분·주식(펀드 포함)·파생금융상품을 뺀 것이다. 결국 가치가 유동적인 주식 등을 제외하고 현재 시점에서 규모가 확정된 대외 자산과 부채만을 말한다.
대외채권에서 대외채무를 뺀 순대외채권은 3679억달러로 한 분기 사이 192억달러 감소했다.
대외채무 가운데 만기가 1년 이하인 단기외채의 비중은 21.9%로 작년 4분기 말보다 0.1%포인트(p) 커졌고, 준비자산 대비 단기외채의 비율(36.5%)도 1.2%p 높아졌다.
박 팀장은 "국민연금과의 통화스와프로 줄어든 준비자산은 다시 늘어나기 때문에 감소가 일시적 현상"이라며 "과거 수준과 비교해도 현재 외채 건전성이나 대외 지급 능력은 모두 양호한 상태"라고 진단했다.
기획재정부도 이날 보도자료에서 "외채 건전성 지표는 양호한 수준"이라며 "국내은행의 외채 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외화유동성 커버리지 비율(LCR)도 1분기 말 기준 152.9%로 규제 비율인 80%를 크게 웃돌고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신한은행, KBO와 장기 파트너십 강화 위한 업무협약 체결
- 1분기 보험사 당기순익 4조원…전년 동기 대비 15.8% 줄어
- 프라이빗 블록체인 '코다' 개발사 R3, 솔라나와 협력....퍼블릭 블록체인으로 RWA 확장
- 카카오뱅크, 1분기 당기순익 1374억...전년 대비 23.6% 성장
- SKT, 신규 가입은 중단...위약금 면제엔 '종합적 검토' 입장 지속
- 유심 해킹 SKT "자산 탈취 가능성 낮아"…전문가들 '보호서비스' 가입 당부
- 반복되는 통신사 해킹에 이용자 불안감↑..."보안 투자 늘려야"
- 日 패션기업 아납, 20억원 규모 비트코인 구매
- 게리 겐슬러 "일부 암호화폐, 장기 생존 가능성…밈코인은 희박"
- 한은, 기준금리 2.50%로 0.25%p 인하…소비·투자 살린다
- 고려대 유승호 연구팀, 카페인 활용 수계 아연전지 개선
- 역대 새정부 출범후 코스피 9번 중 6번 올라…이재명 정부도 통할까
- '파죽지세' 코스피...10개월여 만에 장중 2820선 돌파
- 개정 앞둔 미국 IRA, 독소 조항에 한국 이차전지 업계 '촉각'
- 韓美 산업장관 이어 금주 재무장관 접촉…통화스와프 이견 좁히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