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현판 [사진 : 과기정통부]
과기정통부 현판 [사진 : 과기정통부]

[디지털투데이 이진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2025년 '지역 거점 정보보호 클러스터 구축 사업'에 충청 권역 컨소시엄이 최종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지역 거점 정보보호 클러스터는 수도권에 집중된 정보보호 시설과 인력 격차를 해소하는 사업이다. 2023년 동남권에 첫 개소를 완료했고 올해는 충청에 제2호 정보보호 클러스터가 구축된다. 

2025년 사업은 구축 지역 및 수행기관 선정을 위해 3월 25일부터 지난달 30일까지 사업 공모를 진행했다. 대구·경북, 전라권(광주, 전북, 전남), 충청권(대전, 세종, 충북·충남) 등 3개 초광역권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공모에 참여했다. 

충청 컨소시엄은 앵커시설을 구축할 세종SB플라자 정주여건과 산업 융합 가능성이 돋보인다는 평가를 받았다. 지역특화산업과 연계 전략과 인력양성·일자리 창출 계획도 우수하다고 평가 받았다. 

충청권 지역 거점 정보보호 클러스터에는 올해 20억원을 포함해 2029년까지 5년간 총 1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해당 권역 추진계획에 따라 클러스터 앵커시설을 구축하고 기업 육성, 인력 양성 등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11월까지 본격 구축 작업을 진행한 후, 올해 12월 개소할 예정이다. 

최우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정보보호 기업과 인력은 대부분 수도권에 편중돼 지방은 상대적으로 정보보호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며 "동남권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충청권 클러스터에서도 실질적인 성과가 도출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