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삼성전자 하만]](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5/564787_528827_2658.jpeg)
[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삼성전자 자회사 하만이 미국 마시모사 오디오 사업부를 5000억원에 인수하며 글로벌 오디오 시장 경쟁력을 강화한다.
하만은 6일(현지시간) 미국 마시모사 오디오 사업부를 3.5억 달러(한화 약 5000억원)에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하만이 인수하는 럭셔리 프리미엄 오디오 사업은 '바워스앤윌킨스(Bowers & Wilkins, B&W)'를 비롯해 '데논(Denon)', '마란츠(Marantz)', '폴크(Polk)', '데피니티브 테크놀로지(Definitive Technology)' 등이다.
1966년 영국에서 설립된 B&W는 독창적 디자인, 고급 소재, 고품질 사운드로 오디오 전문가와 애호가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럭셔리 오디오 대표 브랜드다.
B&W 상징인 라우드 스피커 '노틸러스(Nautilus)'는 대당 1.5억원이 넘을 정도로 고가이며, 유선형 디자인의 무선스피커 '제플린(Zeppelin)'과 노이즈 캔슬링 기술의 헤드폰 PX7 시리즈가 유명하다.
또 이번 인수로 CD 플레이어를 최초 발명한 115년 전통의 데논과 고품질 음향의 프리미엄 앰프/리시버 브랜드 마란츠도 확보했다.
하만은 현재 JBL, 하만카돈(Harman Kardon), AKG, 인피니티(Infinity), 마크레빈슨(Mark Levinson) 등 프리미엄 브랜드를 기반으로 지난해 포터블 오디오에서 약 60%의 시장점유율로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하만은 이번 B&W, 데논, 마란츠, 폴크, 데피니티브 테크놀로지 등의 브랜드 인수로 컨슈머 오디오부터 카오디오 사업까지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됐다.
하만은 마시모의 오디오 사업을 라이프스타일 사업부문과 통합해 2025년 608억 달러에서 2029년 700억 달러까지 성장할 컨슈머 오디오 시장에서 글로벌 1위 입지를 공고히한다는 계획이다. 카오디오 분야에서도 기존 하만카돈, JBL, 마크레빈슨, AKG, 뱅앤올룹슨(Bang & Olufsen) 외에 B&W 등 브랜드로 포트폴리오를 확대한다.
하만은 마시모 오디오 사업부문 인수 절차를 연내에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번에 인수하는 B&W, 데논, 마란츠 등에 축적된 전문 오디오 기술과 노하우를 삼성전자 제품에 적용해 시장 확대와 고객 경험 강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데이브 로저스(Dave Rogers) 하만 라이프스타일 사업부문 사장은 "하만은 75년 역사의 오디오 전문기업으로 세계 최정상의 위치로 성장해 온 것에 큰 자부심을 갖고 있으며, 여기에 또 하나의 명품 오디오 B&W까지 확보해 명실상부한 오디오의 명가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작년 5대그룹 매출, GDP의 40% 차지…전체 대기업은 80%
- 최신 갤럭시Z 폴드7·플립7 루머…출시 임박, 배터리 업그레이드 기대
- SKT 해킹 관련 국회 입법 조사처 "이통사 스스로 위약금 면제 가능"
- AWS서밋 서울 14~15일 개최...생성형 AI·클라우드 트렌드·사례 공개
- 폴스타코리아, '스페이스 광주' 오픈
- 삼성전자, 1Q 영업익 6.7조원...전분기 대비 3%↑
- 스마트홈부터 차량까지 '음성' 플랫폼 쟁탈전...삼성·LG 오디오 사업 강화
- 삼성전자, 차세대 시네마 LED '오닉스' 4종 신모델 선봬
- 삼성전자-하만-CGV, AI 기반 미래형 영화관 구축 협약
- 삼성전자 QLED, TUV 라인란드 '퀀텀닷' 인증 획득
- 반도체, 관세 폭풍 속 조용한 반등...회복세 뚜렷
- 삼성 갤럭시 S25 엣지, 내구성 강화 신소재 적용
- 삼성전자, '비전 AI' 옥외광고로 AI TV 시장 공략
- 럭셔리 포터블 스피커…뱅앤올룹슨 베오사운드 A1 3세대 출시
- 삼성전자, 역대급 초슬림 '갤럭시 S25 엣지' 공개
- 삼성전자, 데이터센터 공조기업 독일 플랙트 2.3조에 인수
- 한화모멘텀, 이차전지 공정 연구 전담조직 가동
- 돌비 애트모스 없이도 강력한 사운드… 데논, AVR-S270BT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