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이진호 기자] SK텔레콤이 위약금 면제 요구에 뚜렷한 답을 내놓지 않았다. 정부가 행정지도를 내린 사항이지만 논의가 더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유영상 SKT 사장은 2일 서울 을지로 T타워에서 열린 '고객보호 강화대책' 기자설명회에서 위약금 면제 여부를 묻는 질문에 "법무검토가 끝나는대로 이사회 논의를 하고 종합적으로 (시행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라며 "시기는 특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 따르면 지난 4월 SKT에서 다른 통신사로 옮겨간 가입자는 23만7001명이다. 이는 전월보다 87.7% 증가한 수치다. 해킹에 따른 유심 정보 유출 사태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SKT 가입자들 사이에서는 통신사를 옮기고 싶어도 위약금이 발목을 잡는다는 비판이 거세다. SKT 이용약관에는 회사의 귀책사유로 해지할 경우 위약금을 면제한다는 내용이 있다.
지난달 3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청문회에서도 위약금 면제를 요구하는 여야 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졌다. 지난 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SKT에 행정지도를 통해 신규모집 중단과 위약금 면제 등을 요구했다.
하지만 SKT는 이에 대해 명쾌한 답을 내놓지 않았다. 30일 청문회와 마찬가지로 '종합적 검토'라는 답을 되풀이 했다. 이날 단상에 올라 여러 차례 고개를 숙인 유영상 사장은 위약금 문제만큼은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 그는 "CEO 단독으로 결정할 수 없다"면서 "청문회에서 말씀드린 대로 종합 검토를 거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재무적 손실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회사 입장에는 신규 가입보다 위약금 면제가 훨씬 예민한 문제일 수 있다. 과거와 달리 이통 시장이 포화인 상태에서는 신규 가입 수요가 적은데다 수요 자체도 예측하기 힘들다. 하지만 타 통신사로 엑소더스가 이뤄지는 지금 상황에서 위약금 면제는 재무적 손실이 커지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앞으로도 위약금 면제는 쟁점이 될 전망이다. 국회는 오는 8일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증인으로 하는 청문회를 연다. 유 사장이 단독으로 결정하기 힘들다고 밝힌 만큼 이날 청문회에서 위약금 면제와 관련한 질의가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최 회장 출석 여부는 아직 불투명하다.
한편 SKT는 과기정통부의 신규 모집 중단 요구는 수용했다. 오는 5일부터 유심 수급이 안정화할 때까지 신규 가입 및 번호이동 모집을 중단한다. 유심보호서비스도 별도 신청 없이 자동 가입되도록 조치했다.
또한 유심 교체를 위해 매장을 찾은 가입자들이 지출한 교통비 지급도 검토하기로 했다. 유 사장은 교통비 지급을 묻는 질문에 "(미처) 교통비는 생각하지 못했다"며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SKT는 가입자들을 위한 주의 사항도 전했다. 유심 교체 예약 문자는 발송번호를 꼭 확인하라고 강조했다. SKT를 사칭해 유심 재고 도착을 알리고 가짜 URL 클릭을 유도하는 스미싱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서다.
류정환 SKT 네트워크인프라 센터장(부사장)은 "실제로 재고가 풀린 상태에서 대기 순서가 되면 그 때 (문자를) 발송할 것"이라며 "문자를 발송하게 되면 114 번호로 보내고 인증마크를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유심 정보를 통한 자산 탈취는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류 부사장은 "금융자산을 탈취하려면 금융거래에 필요한 개인정보와 비밀번호가 필요하다"며 "유심에는 이런 정보가 없어 유심정보만으로는 금융자산을 탈취할 수가 없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SKT, 신규가입·번호이동 중단…"유심보호서비스 자동 가입"
- 과기정통부, SKT에 행정지도 "유심 공급 안정될 때까지 신규 가입 중단"
- 진땀 흘린 SKT, 번호이동 위약금 면제 요구에 "종합적으로 검토“
- 방통위, SKT 관련 스팸 주의 당부…본인확인기관 특별점검 실시
- [단독] SKT 사태에 전자정부시스템도 비상...행안부, 모든 정부기관에 점검 요청
- SKT "알뜰폰 포함 2411만명 유심보호서비스…유심교체 104만"
- 과기정통부, 중소기업 공공조달 진입 지원...혁신제품 3개 신규 지정
- 과기정통부, AI 영재학교 665억 확정..."R&D 예타 폐지 추진"
- 서학개미의 힘…대외증권투자 1조달러 돌파·금융자산 역대 2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