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 미국 조지아주 공장 [사진: SK 배터리 아메리카]](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5/564282_528324_5653.png)
[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SK온이 2025년 1분기 매출액 1조6054억원, 영업손실 2993억원을 기록했다고 SK이노베이션이 30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4.6% 감소했으나, 영업손실은 전년 동기 대비 9.7% 개선했다. 전 분기 대비 적자폭을 601억원 줄였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1분기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규모는 1708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약 110% 증가했다. 이는 미국 내 배터리 생산 확대 및 현지화 정책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SK온은 1분기에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배터리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수익성이 개선됐다. 회사 측은 "주요 고객사들이 신규 차량 출시를 앞두고 있어 전기차 생산을 확대했고, 이로 인해 완성차 공장 가동률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SK온은 닛산과 전기차 100만대분에 해당하는 총 99.4GWh 규모의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슬레이트와 20GWh 규모의 계약을 연이어 성사시키며 고객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성공했다. 이를 통해 특정 고객에 대한 의존도를 낮췄다.
2분기에는 북미 지역 배터리 판매량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SK온은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로 미국 내 배터리 생산의 중요성이 커졌다"며 "현지 공장 가동률을 끌어올려 실적 개선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전기차 시장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북미 현대차향 판매량 증가로 올해 연중 성장이 기대된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특히 미국 조지아주에 위치한 배터리 공장(SK Battery America)의 가동률 향상을 통해 수익성 제고를 노리고 있다.
SK온은 현재 한국, 유럽, 미국, 중국 등 글로벌 지역에 배터리 생산기지를 확보하고 있다. 특히 헝가리 이반차 공장(30GWh)이 2024년 2분기부터 상업 가동을 시작했으며, 미국에서는 블루오벌SK(켄터키/테네시, 127GWh), HMG 북미 JV(조지아, 35GWh) 등 대규모 생산시설이 2025년과 2026년에 각각 상업 가동을 앞두고 있다.
SK온은 기존 고객과 신규 고객을 대상으로 추가 수주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회사는 "고객 포트폴리오 확대를 통해 수익성을 개선하고 성장을 가속화할 것"이라며 "배터리 신규 수주 등 고객·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에도 집중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SK온 글로벌 배터리 생산능력>
| 지역 | 생산 거점 | Capacity (GWh) | 상업 가동 시기 |
|---|---|---|---|
| 한국 | 한국 1, 2동(서산) | 7.0 | 3Q18 |
| 한국 3공장(서산) | 14.0 | 2026 | |
| 유럽 | 헝가리 1공장 (코마롬) | 7.5 | 1Q20 |
| 헝가리 2공장 (코마롬) | 10.0 | 1Q22 | |
| 헝가리 3공장 (이반차) | 30.0 | 2Q24 | |
| 미국 | 미국 1공장 (조지아) | 10.0 | 1Q22 |
| 미국 2공장(조지아) | 12.0 | 4Q22 | |
| 블루오벌SK (켄터키/테네시) | 127.0 | 2025 | |
| HMG 북미 JV (조지아) | 35.0 | 2026 | |
| 중국 | BEST JV (창저우) | 7.5 | 2Q20 |
| EUE JV (후이저우) | 10.0 | 1Q21 | |
| SKOJ JV1+2동 (옌청) | 27.0 | 1Q21 | |
| SKOY (옌청) | 33.0 | 2025 |
키워드
#SK온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SK온, 美 전기차 스타트업에 배터리 6년간 공급
- '캐즘 터널' 헤매는 이차전지...IRA 세액공제가 버팀목
- 1∼2월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40.3%↑…K-배터리 점유율 내리막
- '관세 폭탄' 속 1분기 기업 실적 시즌 개막…기업별 희비 교차
- 엠플러스, LG엔솔에 전고체 배터리 조립 장비 파일럿 라인 공급
- SK온, 닛산에 100만대분 전기차 배터리 공급
- 희비 엇갈린 배터리 3사...중국 공세·미국 보호주의 넘어라
- SK온, 전고체 배터리 수명 3배 향상 기술 개발
- SK온, UNIST와 손잡고 배터리 R&D 인재 양성 확대
- SK온 이석희 CEO, 카이스트서 인재중심 성장전략 발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