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가 쇼핑 검색 기능을 추가했다 [사진: 챗GPT]
챗GPT가 쇼핑 검색 기능을 추가했다 [사진: 챗GPT]

[디지털투데이 손슬기 기자] 오픈AI가 챗GPT에 '쇼핑 검색' 기능을 추가했다.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맞춰 제품을 추천하고 이미지, 가격, 리뷰, 구매 링크까지 제공하는 식이다. 카테코리도 패션, 뷰티, 전자제품, 생활용품 등 다양하다. 무엇보다 챗GPT는 광고나 제휴 수수료 없이 중립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전세계 이커머스 업계의 눈이 쏠린 챗GPT 쇼핑 검색 기능을 사용해 봤다.

우선 챗GPT에게 쇼핑 검색을 어떻게 써야할 지를 물었다. '200달러 이하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 추천해줘'와 같이 자연어로 질문하면 추천 제품과 그 이유, 구매 링크까지 제공한다고 소개했다.

추천의 근거는 아마존, 베스트바이, 레딧 등 미국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할 때 주로 참고하는 플랫폼들이다. 여기서 제품 후기, 커뮤니티 의견 등을 취합한다. 일반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하기 전 상품을 찾는 과정과 챗GPT가 상품을 찾는 과정이 상당히 유사해 보인다. 

◆"광고판 같은데?"...카피라이팅 명가의 탄생

가장 먼저 '200달러 이하 노이즈캔슬링 이어폰'을 추천해달라고 했다. 별다른 이유는 없다. 예시에 포함된 질문이라 자신있어 보였기 때문이다.

답변의 완성도는 기대치를 훨씬 웃돌았다. 챗GPT도 새 기능 출시에 앞서 단단히 준비한 모양이다. 압권은 제품 사진별로 1마디의 소구점을 써붙여 마치 광고판처럼 꾸몄다는 점이다.

가령 앵커의 '사운드코어 리버티4 프로'는 "129.99달러의 합리적가격에, 뛰어난 노이즈 캔슬링과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이퀄라이저를 제공하고, 빠른 충전과 최대 40시간의 배터리 성능을 자랑한다"는 1문단의 소개말을 단 5글자인 '가성비 최고'로 요약했다. 직업 카피라이터들도 이같이 직관적인 요약은 힘들지 않을까.

챗GPT의 '가성비 최고'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 추천. [사진: 챗GPT 갈무리]
챗GPT의 '가성비 최고'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 추천. [사진: 챗GPT 갈무리]

이외에도 낫싱의 '이어' 제품은 '디자인 독특'으로, 자브라의 '엘리트8 엑티브'는 '운동에 최적' 등으로 소개했다. 영특함에 감탄이 새나온다.

신묘막측한 추천의 배경은 무엇일까. 챗GPT측 색인을 살펴보니 미국의 최대 음향장비 커뮤니티 '사운드가이즈'의 '2024년 최고의 200달러 이하 무선 이어폰', 미 대형 미디어그룹 복스 산하 IT 전문 매체 '버지'의 '애플이 올해 내놓은 최고의 가성비 이어팟' 등과 같이 추천계의 성경이라 부를 만한 게시글들에서 따왔다. 챗GPT가 대학원생이었다면 '나무위키'를 '위키백과'로 착각해 인용 자료를 찾아왔다가 연구실에서 쫓겨나는 일은 없을 것이다. 한마디로 출처가 확실해 보인다.

◆난해한 질문도 곧잘 해석...거짓말은 여전

난도를 조금 높여봤다. AI가 취약한 '맥락 이해'에서 별5개 난도인 '여자어'(주로 여자들이 쓰는 특수한 완곡어법)를 가득 담았다. 기자가 제시한 질문은 이것이었다. 

"다이슨 제품 중 적당한 걸 찾고 싶은데. 난 머리가 가슴 보다 아래로 긴 직모고, 웨이브는 잘 넣지 않아. 번거롭고 무거운 건 싫어. 뭘 추천해줄래?"

이미 기자는 저 질문에 인적 네트워크를 총동원해 적합한 제품을 추천 받아 구매까지 완료했다. 사용해본 제품을 추천받아야 챗GPT의 추천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을 듯했다. 실로 '답은 정해져 있고 넌 대답만 해'(답정너)의 상황인데, 인간과 챗GPT간 추천 대결이기도 했다.

처음에는 챗GPT측 답변이 다소 실망스러웠다. 다이슨닷컴을 인용해 최신 제품인 '슈퍼소닉r'을 추천해줬는데, 기자가 생각한 제품은 아니었다.

챗GPT의 추천 링크를 타고 들어간 다이슨닷컴의 슈퍼소닉r 제품. 아직 한국 상점 링크는 제공하지 않는다. [사진: 다이슨 홈페이지 갈무리]
챗GPT의 추천 링크를 타고 들어간 다이슨닷컴의 슈퍼소닉r 제품. 아직 한국 상점 링크는 제공하지 않는다. [사진: 다이슨 홈페이지 갈무리]

앞선 질문에서 기자는 챗GPT에게 많은 힌트를 줬다. 우선 '직모고 웨이브는 넣지 않아'라는 것은 '스트레이트너(머리를 펴는 제품)를 추천해줘'라는 의미였다. 드라이기로 머리를 말릴 용도라면 웨이브는 안 넣는다는 부연을 할 필요가 없다. 또 '번거롭고 무거운 건 싫어'라는 건 '다이슨의 여러 스트레이트너 제품 중 머리를 말리면서 펴는 제품을 추천해줘'라는 거였다. 꽤나 명쾌한 해답 아닌가.

조금 더 힌트를 줘봤다. '스트레이트너 기능도 같이 되는 건?'이라고 남겼다. 미국의 유명 대중문화 블로그 '팝슈거'를 인용해 다이슨 '에어스트레이트'와 다이슨 '코랄'을 추천해줬다. '코랄'은 머리를 말리면서 펴는 게 아니라 또 탈락이었다. '에어스트레이트'는 기자가 의도했던 답변이었다.

그런데 다시 답변 앞으로 돌아가 '슈퍼소닉r'을 살펴보니, '에어스트레이트'와 외형은 다르지만, 머리를 말리면서 여러 스타일링이 가능한 드라이어 같았다. 사용성이 우수하다면 인간 보다 나은 AI의 추천인 셈이라, 두 제품을 비교 가능할 때까지 판단은 보류하기로 했다.

난도를 극상으로 올려봤다. 기자의 전공 분야에서 '답정너' 질문을 한번 더 했다. 음악저작을 위한 모니터링 스피커를 추천해달라는 것이었다.

"1조에 1000달러 정도 모니터스피커를 사고 싶은데, 디지털오디오워크스테이션(DAW)용으로. 중국 생산이 아닌 독일제를 선호하고, 요새 커뮤니티서 젤 뜨는 제품이 뭐야? 광고글은 알아서 걸러줘. 아, 그리고 디자인도 고려해줘."

챗GPT는 가장 먼저 2가지 제품을 추천했다. 둘다 상위 모델을 사용해본 터라 그럴듯한 추천이라 여겼다. 

먼저 제네릭의 4인치 모니터 스피커인 '8020D'은 핀란드 생산에 1조(통)에 1070달러, 한화로 140만원이란다. 주파수 응답은 56~2만5000헤르츠, 4인치 우퍼에 0.75인치 트위터를 탑재한 2웨이 액티브 스피커다. 해설하면, 초고음·고음 및 저음의 균형감이 좋고, 스펙에 적힌 그대로 소리를 출력하는 데 핵심이 되는 평평한 주파수 응답을 가진 제품이다. 

여기서도 '정확한 사운드와 내구성'과 같이 제네릭 스피커를 대표하는 인용구를 '루리웹', '기어랭킹'과 같은 관련 커뮤니티 게시글에서 따와 알려줬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고 싶다.

거짓을 들키기 전까지 인정하지 않는 챗GPT. [사진: 오픈AI 챗GPT 갈무리]
거짓을 들키기 전까지 인정하지 않는 챗GPT. [사진: 오픈AI 챗GPT 갈무리]

두번째 추천은 아담의 5인치 스피커인 'A5X'였다. 상위 모델인 'A7X'를 3년 이상 썼던 터라 익히 아는 모델이다. 단, 예전 제품과 달리 최근 제품은 아담이 영국 포커스라이트로 인수되며 생산을 중국에서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챗GPT는 독일 제조라며 추천했다. 거짓말을 한 셈이다.

사실을 체크해보니 아담의 플래그십 모델인 S 시리즈는 여전히 독일 베를린에서 수작업 생산을 한다고 한다. 단 중간급 전문가용인 A 시리즈와 엔트리급 T 시리즈는 중국 생산인 것으로 알려졌다. 'A7X'와 'A5X'는 A 시리즈 제품이다.

거짓말을 들킨 뒤 챗GPT는 독일에서 생산하는 다른 모니터 스피커를 바로 제시했다.

노이만 'KH120A', 이브 오디오 'SC207', 헤드 '타입 05 MK2' 등 3가지 제품이 주인공이다. 노이만 'KH120A'는 마이크 명가 노이만에서 만든 스튜디오용 모니터 스피커로, 기자가 현재 쓰는 제품이다. 마이크와 스피커는 소리를 출력하느냐 입력하느냐의 차이일 뿐 구성요소가 거의 같다. 즉, 마이크 명가는 스피커도 잘 만든다. 답정너에서 정답을 맡은 몸이다. 

이브와 헤드는 비교적 신생 브랜드들인데, 둘다 아담 출신들이 만든 회사다. 아담의 쨍한 고음역대와 통통튀는 공간감을 잘 살리면서도 가격이 잘나와 이용자들 평가가 좋다. 다만 기자의 취향에는 소리가 너무 인위적이다. 무엇보다 이브는 중국 생산인데, 챗GPT가 자꾸 독일제로 추천해줘서 좀 짜증이 났다.

최종 결정된 3가지 제품군은 다음과 같았다. 모두 '1조에 1000달러 이하, 음악저작도구(DAW)용, 중국 생산이 아닐 것(독일제 선호)'이란 조건에 부합했다. 


독일 및 핀란드 생산 스튜디오 모니터 요약표

제품명 제조국 주요 특징 가격대 (USD) 구매 링크
Neumann KH 120 II 독일 DSP 내장, 초정밀 사운드, 고급 빌드 퀄리티 ~$999 (pair) Sweetwater / Thomann / Amazon
HEDD Type 05 MK2 독일 AMT 트위터, 디지털 입력, DSP 보정 지원 ~$999 (pair) Thomann / B&H / Headphones.com
Genelec 8020D 핀란드 컴팩트한 사이즈, 고정밀 밸런스, 프로 시장 점유율 높음 ~$690 (pair) Sweetwater / Thomann / B&H

[표: 오픈AI 챗GPT]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