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DS부문 반도체 사업장 [사진: 삼성전자]
삼성전자 DS부문 반도체 사업장 [사진: 삼성전자]

[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삼성전자가 30일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갤럭시 S25의 판매 호조 여부와 반도체 부문 회복세가 주요 관전사항이다. 회사는 지난해 4분기 실적발표에서 "세트 부문 성장과 반도체 부문 약세 지속"을 예고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8일 잠정실적으로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79조원, 영업이익 6조6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4.24%, 영업이익은 1.69% 증가했으며, 전년 동기와 비교해 매출은 9.84%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0.15% 감소했다.

매출액은 전분기 75조7900억원에서 79조원으로 약 3조2100억원 증가했다. 이는 전년 동기 71조9200억원과 비교해 7조800억원 증가한 수치다. 갤럭시 S25 모델의 판매 호조와 D램 출하량 상승 효과가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잠정실적은 지난 2월 실적발표에서 박순철 CFO 부사장이 예측한 "2025년 1분기는 반도체 부문의 약세가 지속되어 전사 실적 개선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과 비교해 다소 개선된 수치다.

김재준 메모리 사업부 부사장은 지난 실적발표에서 "모바일과 PC 응용의 경우 고객사의 재고 조정이 1분기까지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히며, 특히 "AI향 반도체의 수출 통제로 인한 HBM의 수요 변동성이 예상 외로 높을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이에 D램의 경우 1b 나노 전환을 가속화해 DDR5 및 LPDDR5X 공급 비중을 확대하고, 낸드는 V6에서 V8로 공정 전환을 진행하면서 서버용 V7 QLC SSD 판매를 확대하겠다고 계획했다. 

1분기에는 "컨벤셔널 제품의 시장 가격 하락과 HBM 매출 비중 감소로 D램 ASP와 실적이 전분기 대비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으나, 잠정실적을 통해 볼 때 D램 출하량 상승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반도체 사업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의 영업이익은 1조원 수준에 그친 것으로 예상돼, 메모리 부문의 완전한 회복은 아직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삼성전자의 메모리 반도체 경쟁사인 SK하이닉스는 지난 24일 2025년 1분기 매출액 17조6391억원, 영업이익 7조4405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42%, 영업이익은 158% 증가했으며, 영업이익률은 42%를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AI 개발 경쟁과 재고 축적 수요 증가에 대응해 HBM3E 12단, DDR5 등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를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DS부문 영업이익이 1조원 수준에 그친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번 실적 발표에는 향후 반도체 사업의 본격적인 회복 여부와 2분기 이후 전망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될 전망이다.

비메모리 반도체 부문의 부진이 얼마나 지속됐는지가 이번 실적 발표에서 주목할 부분이다.

시스템LSI와 파운드리 사업은 1분기에도 실적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권형만 시스템LSI 사업부 상무는 "플래그십 SOC 진입을 놓친 영향으로 사업부 전체 실적 부진이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현재 

파운드리 사업의 노미정 상무는 "모바일 수요 부진 및 가동률 저하에 따른 고정비 부담 증가 영향으로 실적 부진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갤럭시S25 시리즈를 발표하는 노태문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 직무대행  [사진: 삼성전자]
갤럭시S25 시리즈를 발표하는 노태문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 직무대행  [사진: 삼성전자]

MX(Mobile eXperience) 사업부의 실적은 갤럭시 S25 출시 효과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실적발표에서 박 부사장은 "세트 부문에서 AI 스마트폰과 프리미엄 제품군 판매 강화를 통한 성장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는데, 갤럭시 S25의 판매 호조가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갤럭시 S25 시리즈는 2월 말에 출시되어 1분기 실적에 한 달 이상 반영됐으며, 역대 갤럭시 시리즈 중 최단기간에 국내 100만대 판매 기록을 달성했다. 이는 갤럭시 S24 시리즈가 두 자릿수 이상 성장했던 실적을 이어가는 호조로, 세트 부문에서의 실적 개선을 이끈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또 다니엘 아라우호 MX 사업부 상무는 지난 실적발표에서 "새로운 AI 경험과 극대화된 제품 경쟁력을 적극적으로 소구하고, 거래선과의 협업을 강화하여 AI 스마트폰 시장을 지속 주도해 나가겠다"고 공언했던 전략이 성과를 거둔 셈이다.

VD(Visual Display) 사업부는 계절적 비수기 진입으로 수요 감소가 예상되는 가운데서도 QLED, OLED, 초대형 TV 등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노경래 VD 사업부 부사장은 "당사의 AI 스크린이 나아갈 방향성인 비전 AI 전략 기조 하에 신모델 런칭과 연계한 마케팅을 확산하겠다"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