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이진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이동통신 무선국 환경친화 정비협의회'를 개최하고 정비 성과를 점검하고 중장기 추진방향을 논의했다.
이동통신 무선국은 이동통신 인프라 기반으로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해왔다. 그러나 무선국 증가에 따른 도시미관·자연환경 훼손, 노후화·과밀화로 인한 시설물의 안전 이슈 등도 함께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2021년부터 이동통신 3사,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등과 함께 이동통신 무선국 환경친화 정비사업을 추진했다. 전주나 건물 옥상 등에 설치된 노후·위험, 난립 구조물 및 밀집 안테나, 유동 인구가 많은 무선국소 등에 대해 가림막 설치, 환경친화형 위장, 프레임 설치, 안테나 재배치 등을 중점 추진하는 사업이다.
2021년 7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1단계 사업 추진 결과 7041개 무선국소(약 9만4000개 무선국)를 정비해 당초 계획 100%를 달성했다. 과기정통부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2단계 사업을 추진해 총 1만5000개 무선국소(약 14만2500개 무선국·누적)를 추가 정비하기로 했다.
2단계 사업은 환경친화 정비와 더불어 지진, 집중호우, 풍수, 대설·한파 등 재난 피해 예방을 위한 실효적 현장점검 체계를 구축하고, 안전점검을 병행한다.
![무선 기지국 정비 전후 비교 모습. [사진: 과기정통부]](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4/563820_527865_3336.jpg)
한편 이달 초 발표한 유선 인프라 정비사업은 올해 51개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355개 정비구역 전주 15만3673본(한전주 11만2653본, 통신주 4만1020본)에 대해 정비를 추진한다.
정비 효과 제고를 위해 인입설비 공용화 및 지향성압입(HDD) 공법 시범사업과 신축 건물 인입관로 사전협의 절차 마련 등 신기술과 신공법 적용 시도 또한 계속한다. 해지 후 방치된 케이블에 따른 보행자 사고나, 도로를 횡단하는 케이블로 인한 차량 걸림 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해 안전 위해 요소를 감축하는 방안도 적극 시행한다.
이날 정비협의회는 난립·밀집된 무선국이 정비된 현장과 공중케이블 정비 현장을 함께 돌아보며, 정비에 매진한 사업자와 협력사 노력을 확인하고 격려했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유·무선 네트워크 인프라는 안전·편리·혁신적 디지털 서비스에 널리 활용될 수 있는 기반으로써 중추적 역할을 했다"며 "정비사업 현장 인력 안전사고 예방에도 늘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