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현판 [사진 : 과기정통부]](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4/563312_527412_5723.jpg)
[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기후·환경 연구개발사업의 신규과제를 선정하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선다.
과기정통부는 2025년도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 6개 사업의 27개 신규과제를 선정했다고 24일 밝혔다.
올해 신규과제 지원 예산은 233.7억원이다. 이는 지난 1월 발표한 기후·환경 연구개발 분야 862억원 투자 계획의 일환이다.
수소 분야에서는 미국·독일 등 해외 선도 연구그룹과 차세대 수전해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미국 DOE 산하 아르곤 국립연구소, 태평양 북서부 국립연구소 등 12개 기관과 협력해 고체산화물 수전해전지의 내구성 향상 연구를 수행한다.
CCU 분야는 미국·영국과 함께 탄소 포집 기술의 상용성과 비용 저감을 위한 연구개발을 진행한다. CCU(Carbon Capture & Utilization)는 온실가스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친환경 연료, 화학물질, 건설소재 등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를 말한다.
한양대학교는 미국 DOE 산하 브룩헤이븐 국립연구소와 협력해 무탄소 에너지를 활용한 지속가능항공유 생산 연구를 추진한다.
한국화학연구원은 국내 최초로 CCU 기술에 대한 탄소감축 평가플랫폼을 구축한다. 이 플랫폼은 CCU 제품 탄소발자국 산정과 CCUS 통합법에 따른 CCU 기술제품 인증 제도운영에 활용될 예정이다.
AI기반 미래기후기술개발 원천연구사업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한반도 미래기후 예측·대응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AI-역학 전지구 기후모델 개발과 한반도 복합기후재해 예측 등을 통해 기후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킨다는 계획이다.
무탄소에너지 기술개발사업은 차세대 초격차 태양전지와 무탄소 연료활용 수소연료전지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태양전지 효율을 35% 이상으로 높이고, 수소연료전지는 효율 68% 이상을 목표로 한다.
차세대CCU 기술고도화 사업은 무탄소에너지와 연계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전주기 기술 실증을 진행한다. 제철 공정의 이산화탄소를 활용한 액상연료 생산 기술과 발전소 포집 이산화탄소를 활용한 고상원료 생산 기술 개발이 핵심이다.
그린수소기술자립프로젝트사업은 2024년 선정된 알칼라인 수전해, PEM 수전해 국가수소중점연구실과 연계해 그린수소 기술 자립화를 추진한다. 선정된 과제들은 최대 6년간 지원받을 예정이다.
<기후·환경 연구개발사업 신규 과제>
| 사업명 | 연구과제명 | 주관연구기관 | 해외협력연구기관 |
|---|---|---|---|
| H2GATHER | 고체산화물 수전해전지 내구성 향상 글로벌 협력 연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美) DOE 산하 아르곤국립연구소 등 |
| 차세대 AEM 수전해 핵심 소재 기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獨) 율리히(Jülich) 연구소 등 | |
| AEMWE 내구성 확보를 위한 핵심 요소기술 개발 | 포항공과대학교 | (美) Northwestern 대학 등 | |
| 글로벌 C.L.E.A.N | 배출원 맞춤형 저비용 포집기술 개발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英) 노팅엄 대, ICL, UCL 등 |
| 네거티브 포집기술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美) 조지아 공과대학교 등 | |
| 무탄소에너지 연계 e-CCU 개발 | 한양대학교 | (美) DOE 산하 브룩헤이븐 연구소, (日) 와세다대학교 등 | |
| CCU 전주기 탄소감축 평가인증체계 구축 | 한국화학연구원 | (美) 미시간 대학교, NETL 등 | |
| AI기반미래 기후기술 개발원천 연구사업 | AI-역학 하이브리드 전지구기후모델 개발 | 광주과학기술원 | |
| AI 기반 한반도 복합기후재해 예측 기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
| AI기반 기후-인간 상호영향 차세대 통합평가모델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
| 멀티모달 AI기반의 사회기반시설 손상 진단/예측/유지관리 통합 플랫폼 개발 | 연세대학교 | ||
| 무탄소에너지핵심 기술개발 | 상용 태양광 모듈 안정성/내구성 향상 및 평가 기술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
| 초경량 고신뢰성 사용처다변형 다중접합(CIGS) 태양전지 기술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
| All-페로브스카이트 삼중접합 탠덤 태양전지 원천기술 개발 | 성균관대학교 | ||
| 고안정성, 고효율, 저비용 무기박막태양전지기술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 | ||
| 고응답성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EMFC) 기술 개발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
| 고성능(>68%) 고내구성 PEMFC 전극 핵심 원천기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
| 암모니아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선도기술 개발 | 한국기계연구원 | ||
| AI 기반 PCFC 핵심 요소기술 개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
| 차세대CCU 기술고도화 | CO2 활용 고에너지 밀도 액상 화학제품 생산 |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
| CO2 활용 고에너지 밀도 고상 화학제품 생산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
| 그린수소 기술자립 프로젝트 | 알칼라인 수전해 차세대 이온솔베이팅 분리막 개발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
| 모델링 및 실험 기반 알칼라인 수전해용 확산체 기술개발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
| 부하변동 대응형 알칼라인 수전해 대면적 수소발생 전극 기술개발 |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 ||
| 수전해 스택 환경 모사를 위한 대면적 셀 특성 평가 기술 개발 | 서강대학교 | ||
| 모사 환경에서 소재 및 부품의 열화 메커니즘 평가 기술 개발 | 중앙대학교 | ||
| 고온 운전 대응 고분자 전해질막 수전해용 MEA 핵심 소재 등 기술 개발 | 광주과학기술원 |
키워드
#과기정통부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2025 '월드IT쇼' 개막…450개 기업·기관 참가
- 글로벌로 한국 미디어 기술 확산…'K-FAST 얼라이언스' 출범
- 류광준 과기혁신본부장, 국립기상과학원에서 AI 활용 방안 논의
- 다가온 단통법 폐지…지역·나이로 지원금 차별 안돼
- 과기정통부, AI반도체 해외실증 지원 착수보고회
- 월드IT쇼, 코엑스에서 24일 개막…최신 AI·디지털 기술 소개
- 윈도우10 지원 종료 눈앞…과기정통부, 종합상황실 운영
- 과기정통부 "프랑스 칸에서 K-콘텐츠와 AI 미디어 글로벌 진출 이끈다"
- [데일리픽] 美 비트코인 추가 확보…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 일정 연기
- 과기정통부, 탑티어 사업으로 글로벌 연구협력 강화
- 류광준 과기혁신본부장, IRIS 개선 위한 현장 의견 청취
- 과기정통부, 글로벌 기업연구소 육성 사업 지원 확정
-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인재 육성에 9조원 투자 계획
- 옥수수 vs. 태양광…미국 농지 활용 해법은?
- 과기정통부, 2026년도 R&D예산 전략회의 개최
- 캐나다 에너지 산업 AI로 혁신…자율주행·드론·생성형 AI까지
- GIST 김호범 교수, 차세대 광반도체 소재 기술로 '젊은 과학자상' 수상
- 기계연, 기업 협력 플랫폼 'K-Partners' 출범
- 기계연, 100% 국산 CNC 시스템 개발
- 화학연, 리튬 보호막 제조 기술 개발...배터리 폭발 막는다
- 기계연, 온실 3중 열병합발전 시스템 개발
- 기계연, 미래 전략기술 분야 신입직원 채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