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드인 [사진: 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4/561954_526361_4434.jpg)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AI 확산 속에 개발자, 디자이너, 기획자 들간 역할 구분이 희미해질 것이란 관측이 많다. 실제로 마이크로소프트 산하 링크드인(LinkedIn)에선 실제로 이런 일이 현실화되는 분위기다.
디인포메이션 최근 보도를 보면 링크드인은 지난해 말부터 조직 개편을 통해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가 각자 라인에서 보고하는 대신, 특정 제품 중심으로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들을 한팀으로 통합했다.
링크드인 최고 제품 책임자CPO)인 토머스 코헨의 말을 빌리면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들이 모두 ‘풀스택 빌더(full-stack builder)’가 되도록 장려하는 구조다.
이에 따라 링크드인에선 기획자가 디자인도 하고, 디자이너가 AI를 활용해 코드를 짜는 장면이 수시로 연출되고 있다. 디자이너도 제품 비즈니스 가치를 이해하고, 개발자도 사용자 경험에 대한 감각이 필요로 하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는 채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직무 간 경계가 흐려지면서, 다방면에 능한 인재를 뽑는 흐름이 두드러지고 있다.
AI가 많은 것을 대신할 수 있는 상황에서 “코드를 잘 짠다”거나 “디자인 툴을 잘 다룬다"를 넘어 무엇을 만들지 ‘판단’하는 능력이 점점 강조되고 있다.
링크드인은 사용자가 디자인 소프트웨어 피그마에서 디자인을 만들고 이를 웹 페이지나 앱을 구축하기 위한 코드로 자동 생성할 수 있는 맞춤형 소프트웨어도 개발 중이다.
생성된 코드는기업 다른 코드베이스와 일관성을 유지하게 된다. 직원들은 관계사인 깃허브(GitHub)가 제공하는 코드 생성 AI에도 접근할 수 있다.
키워드
#Casestory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Case Story]워크데이는 어떻게 문제 없이 고객 데이터를 AI 학습에 활용하나
- [Case story] 모더나가 AI 땜에 HR과 IT부서를 합친 데는 이유가 있다
- [Case story] AI 시대, 영업팀은 어떻게 진화할까?
- [Case Story]소매 거인 월마트는 AI 에이전트를 어떻게 보는가?
- [Case Story]포드, AI 기반 자동차 개발 혁신을 말하다
- [Case story]오프라인 매장 경험 바꾸겠다...맥도날드의 엣지컴퓨팅 기반 AI 전략
- [Case Story]햄버거 로봇 스타트업 '에니아이' "캐드는 이제 핵심 협업 플랫폼"
- [Case Story]자체 모델로 광고 효과↑·외부 툴로 생산성 개선...핀터레스트의 투트랙 AI 전략
- [Case Story]핀테크 스타트업 클라르나, AI로 비용 절감 어떻게?
- [Case Story]이것 저것 해보다 지금은 되는 것에 집중...존슨앤드존슨의 달라진 AI 전략
- [Case Story]로봇 스타트업 에니아이, 왜 캐드 기반 협업을 경쟁력으로 강조하나
- [Case Story]"이제 확장할 때"...엔비디아와 손잡은 로레알의 AI 앱 내재화 전략
- [Case Story] AI로 입소문을 설계하다…유니레버의 인플루언서 마케팅 실험
- [Case story]골드만삭스 CTO, AI와 함께 일하는 엔지니어의 조건을 말하다
- [Case Story]월마트, 왜 슈퍼 에이전트 중심으로 AI 전략 재편하나
- [Case Story]AI로 아끼는 비용도 이슈...서비스나우, 채용 줄여 올해 1억달러 절감
- [Case Story] 이베이, AI로 명가 재건 가능할까?... 후발 플랫폼의 반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