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기정성 현대글로비스 유통사업본부 전무, 남궁호 쏘카 CBO [사진: 쏘카]
(왼쪽부터) 기정성 현대글로비스 유통사업본부 전무, 남궁호 쏘카 CBO [사진: 쏘카]

[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쏘카와 현대글로비스가 각사의 플랫폼 역량을 결합해 중고차 플랫폼 성장과 탁송 서비스 효율화를 위한 협력을 시작했다.

쏘카는 현대글로비스와 '중고차 플랫폼 성장과 탁송 서비스 효율화'를 위한 협력을 시작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현대글로비스의 중고차 플랫폼 '오토벨 비대면 내차팔기' 서비스에 쏘카의 탁송 플랫폼 '핸들러'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핸들러는 전국 2만5000여대의 쏘카 차량 이동을 담당하는 탁송 플랫폼으로, 이번 협력을 통해 오토벨 플랫폼 매각 차량의 검수와 이동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쏘카는 2018년부터 전국 쏘카 차량의 이동을 위해 핸들러를 운영해왔다. 핸들러는 쏘카 회원이 쏘카 차량을 이동시키거나 주유, 전기차 충전, 세차 등 미션을 지칭하는 '핸들'을 수행하고 일정 수익을 보상받는 서비스다. 3월 기준 핸들러의 누적 가입자수는 18만명이다.

서비스 운영 방식은 오토벨 고객이 비대면 내차팔기 서비스로 매각하려는 차량 정보를 온라인에 등록하고 견적을 받으면, 핸들러 앱에 매각 차량 정보와 이동 경로, 시간, 보상 등의 미션 정보가 등록된다. 다음날 핸들러는 일정에 맞춰 현장을 방문해 차량 상태를 확인하고 경매장으로 차량을 이동시킨다.

양사는 이미 오토벨 비대면 내차팔기 서비스에 핸들러를 활용하는 PoC(개념 증명)를 진행했다. 일부 도서산간 지역부터 시작한 시범 서비스는 높은 만족도와 안전성을 바탕으로 서비스 지역을 점차 확대해왔다. 

지난 18일에는 경남, 경북, 전북 지역까지 서비스를 확대했으며, 상반기 중으로 인천과 경기 지역까지 서비스 운영 지역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남궁호 쏘카 CBO는 "이번 협업은 전국 단위의 카셰어링 서비스 운영 인프라를 중고차 플랫폼과 결합해 새로운 물류 혁신 가능성을 발굴할 좋은 기회다"며 "핸들러의 넓은 확장성과 기술력을 기반으로 중고차 거래 플랫폼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나아가 탁송 산업 전반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기정성 현대글로비스 전무는 "이번 협력이 쏘카의 IT 기반 탁송 플랫폼인 핸들러와 오토벨 플랫폼의 시너지를 발휘해 중고차 거래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며 "양사의 협력은 중고차 거래의 디지털화와 서비스 품질 향상을 통해 소비자 중심의 혁신을 실현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키워드

#쏘카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