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취업자 두 달 연속 10만명대 증가세 [사진: 연합뉴스]](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3/557261_521552_1610.jpg)
일자리를 잃었거나, 취업을 준비 중이거나, 집에서 그냥 쉬는 '청년 백수'들이 지난달 120만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렵게 일자리를 구한 청년 가운데서도 4명 중 1명은 근로 시간이 짧은 '단기근로자'였다.
1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15∼29세 청년 중 실업자는 26만9000명이었다.
작년 같은 달(26만4000명)과 비교하면 1년 새 5000명(2.0%) 증가했다.
2월 기준 청년 실업자는 코로나19 시기인 2021년 41만6000명에서 2022년 29만5000명, 2023년 29만1000명, 2024년 26만4000명으로 3년 연속 감소하다가 올해 4년 만에 다시 증가했다.
청년층 인구가 빠르게 감소하는 상황에서도,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청년은 오히려 늘어난 것이다.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청년 비경제활동인구 역시 420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5000명 증가했다.
이 중 별다른 활동 없이 '그냥 쉬는' 청년은 50만4000명으로, 2003년 통계 집계 이후 최대치를 경신했다.
청년 비경제활동 인구 중 '취업준비자' 또한 43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는 정규교육 기관 외에 취업을 위한 학원 또는 기관에 다니는 청년이 11만8000명, 그 외 취업 준비 청년이 31만6000명이었다.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자거나, 비경제활동 인구 중 '쉬었음' 또는 '취업준비자'인 청년의 수를 모두 더하면 120만7000명이었다.
작년(113만4000명)과 비교하면 1년 새 7만명 넘게 늘었다.
경제 성장이 둔화와 내수 부진, 제조업·건설업 불황, 기업들의 경력직·중고 신입 선호 현상 등이 복합적으로 겹치면서 일자리를 찾지 못한 '청년 백수'가 늘어난 것이다.
![[사진: 연합뉴스]](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3/557261_521553_1655.jpg)
어렵사리 일자리를 구한 청년들도 상황은 녹록지 않다.
청년층 중 조사 주간 취업 시간이 36시간 미만인 사람은 93만6000명이었다.
청년층 취업자가 355만7000명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취업자 4명 중 1명은 주 5일 출근하는 전일제 근로자가 아닌 '긱워커'로 불리는 단기 근로자이다.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등을 이유로 단기 근로를 선호하는 현상이 반영된 것이라는 시각도 있지만, 청년층이 구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가 사라진 영향이 크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청년층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 또한 지난달 12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2000명가량 늘었다. 코로나19 확산기였던 2021년(15만2000명) 이후 2월 기준 가장 높은 수치다.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는 통계청의 조사에서 '현재 하는 일의 시간을 늘리고 싶다', '현재 하는 일 이외의 다른 일도 하고 싶다' '더 많은 시간을 일할 수 있는 일(직장)로 바꾸고 싶다'고 응답한 경우가 여기에 속한다.
통계상으로는 취업자로 잡히지만, 임시 또는 단기일자리가 많아 '불완전 취업자'로도 불린다.
일주일에 1~17시간 일한 '초단기 근로' 청년들의 수도 44만5000명에 달했다. 전체 취업자 대비 비중은 12.5%였다.
[연합뉴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LG전자, LG크루 5기 출범 'Z세대' 시선으로 제품·서비스 재해석
- 2025년 IT 분야 채용 36% 'AI'…연봉·고용안정 보장
- 2월 취업자 13만6000명 증가…건설업 10개월 연속 '마이너스'
- 삼성, 16개 계열사 참여 상반기 공개채용 실시
- 이주은 ASML코리아 HR 부사장 "도전하세요, 실력이 성별을 이깁니다"
- LG에너지솔루션, 공채 앞두고 '배터리잡페어 2025' 인기
- 하나금융, 중장년 일자리 종합 지원 프로그램 실시
- 넷마블, 대학생 서포터즈 '마블챌린저' 23기 발대식 개최
- 지그재그 "취업·웨딩 시즌 앞두고 가성비 패션 거래액 전년비 388%↑"
- 임금근로자 평균 대출 5150만원…중기 연체율, 대기업의 3배
- 2월 생산·소비·투자 트리플↑…음식·숙박 3년 만에 최대 감소
- 생성형 AI 확산에도 일자리 변화 없다…노동시장 영향 미미
- MZ세대 "전화가 무서워요"…전화 스트레스로 퇴사까지
- 채용시장 주도하는 AI, 앤트로픽은 AI 지원서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