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온라인 사기를 향한 강력한 단속 조치가 문제가 되고있다. [사진: 셔터스톡]
중국에서 온라인 사기를 향한 강력한 단속 조치가 문제가 되고있다.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중국에서 급증하는 온라인 사기와 관련된 강력한 단속 조치가 시민들의 사생활을 침해하는 문제로 번지고 있다는 소식이다.

12일(현지시간) 온라인 매체 기가진은 블룸버그를 인용해, 중국 당국이 사기 행위를 차단하기 위해 2021년부터 2024년 5월까지 약 70억 건의 통화 및 문자 메시지를 감청하고, 1800만 건 이상의 면담을 실시했다고 전했다.

한 중국인 남성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해외 전화 한 통을 받은 직후 경찰로부터 사기라는 경고를 받았고, 곧바로 여러 명의 경찰이 그의 집을 방문해 서명을 요구했다고 전했다. 그는 "그 정도의 사기 행위에 대처하는 데 그렇게 많은 인원이 필요한가 생각했다"라며 단속 조치가 다소 과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중국인 남성 역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투병 중일 당시, 사기 전화를 받아 경찰로부터 은행 계좌가 한 달 동안 동결됐으며, 계좌 이체와 같은 간단한 은행 작업도 경찰의 허락을 받았어야 했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매체에 따르면 부동산 시장 침체와 저금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국에서는 많은 청년들이 실업 상태에 놓여 있다. 이로 인해 빠른 돈벌이에 속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고 한다. 중국 공안부에 따르면 2023년 중국에서 인터넷 및 통신 관련 사기를 당한 사람의 평균 연령은 37세이며, 피해자의 약 62%가 18세~40세였다.

공안부는 이러한 사기로 인한 정확한 피해 규모는 밝히지 않았으나, 시진핑 국가주석이 2021년에 시작한 온라인 사기 단속 캠페인을 통해 지금까지 1조1000억위안(약 22조 원) 이상의 피해를 사전에 방지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강력한 사기 단속 조치가 사생활 침해 문제로까지 번지고 있는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MS)의 포스트닥 연구원이자 중국의 감시 체제 전문가인 류춘청(Chuncheng Liu)는 "많은 사람들은 정부의 감시가 자신들을 신경 쓰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지만, 누군가는 감시의 부작용을 우려한다"라고 밝혔다.
 

키워드

#중국 #사기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