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1/550138_514300_835.png)
[디지털투데이 이진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장관 직속 부서 '디지털융합촉진과'를 신설했다. 디지털 서비스 융합 업무를 담당하는 조직으로 초거대 AI 정책을 비롯해 디지털플랫폼정부 지원에 집중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디지털융합촉진과는 지난 6일 업무를 시작했다. 장관 자율로 과 단위 조직을 운영할 수 있는 '장관 자율기구제'에 따라 각 부처와 기관은 국정과제 및 핵심 현안에 필요한 기구를 장관 재량으로 신설할 수 있다.
디지털융합촉진과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에는 초거대 AI 등 디지털 기술 융합·도입과 관련한 사무에 관해 장관을 보좌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과 인원은 현재 과장 1명 포함 총 6명이다. 과장으로는 정재훈 전 전파관리자원팀장이 임명됐다. 필요한 경우에는 외부 전문가를 자문위원으로 위촉하거나 민간기업으로부터 인력 파견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
정재훈 디지털융합촉진과장은 "사회 모든 분야에 AI를 확산시키자는 부처 내 공감대가 있었다"며 "나눠져 있던 AX 관련 업무를 한 곳에 모으고 디지털플랫폼정부 관련 업무를 주로 담당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재 디지털융합촉진과는 다양한 공공분야에서 AI 기반 서비스를 확산하는 '초거대 AI 공공 서비스 개발 사업'과 민간 초거대 AI 플랫폼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초거대AI 플랫폼 이용 지원' 사업 등에 집중하고 있다. 향후 디지털기술 도입을 위한 관계부처 협업이나 민간 협력체계 구축도 디지털융합촉진과가 주도할 방침이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지난해 12일 23일 정부세종청사 인근에서 개최된 송년 기자간담회에 서 AI 정책 강화를 예고했다. [사진: 과기정통부]](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1/550138_514302_179.jpg)
정부가 AI G3를 목표로 삼은 가운데 디지털융합촉진과는 특히 유 장관이 집중하는 AI 관련 정책 추진에 초점을 맞춘다는 게 과기정통부 전언이다. 유 장관은 지난해 12월 송년 기자간담회에서 "AI 중심 디지털 정책은 국가 명운을 결정하는 성장엔진"이라며 "과기정통부도 흔들림 없이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디지털융합촉진과는 오는 7월까지 6개월간 한시적으로 운영되며, 필요시 6개월 추가 연장 운영이 가능하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AI 일상화 등 장관께서 유심히 챙기던 업무를 중점적으로 볼 예정"이라며 "(부서 이름과 같이) 디지털 전환와 융합을 촉진하는 부서 성격"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