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투데이 이진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장관 직속 부서 '디지털융합촉진과'를 신설했다. 디지털 서비스 융합 업무를 담당하는 조직으로 초거대 AI 정책을 비롯해 디지털플랫폼정부 지원에 집중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디지털융합촉진과는 지난 6일 업무를 시작했다. 장관 자율로 과 단위 조직을 운영할 수 있는 '장관 자율기구제'에 따라 각 부처와 기관은 국정과제 및 핵심 현안에 필요한 기구를 장관 재량으로 신설할 수 있다.

디지털융합촉진과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에는 초거대 AI 등 디지털 기술 융합·도입과 관련한 사무에 관해 장관을 보좌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과 인원은 현재 과장 1명 포함 총 6명이다. 과장으로는 정재훈 전 전파관리자원팀장이 임명됐다. 필요한 경우에는 외부 전문가를 자문위원으로 위촉하거나 민간기업으로부터 인력 파견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 

정재훈 디지털융합촉진과장은 "사회 모든 분야에 AI를 확산시키자는 부처 내 공감대가 있었다"며 "나눠져 있던 AX 관련 업무를 한 곳에 모으고 디지털플랫폼정부 관련 업무를 주로 담당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재 디지털융합촉진과는 다양한 공공분야에서 AI 기반 서비스를 확산하는 '초거대 AI 공공 서비스 개발 사업'과 민간 초거대 AI 플랫폼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초거대AI 플랫폼 이용 지원' 사업 등에 집중하고 있다. 향후 디지털기술 도입을 위한 관계부처 협업이나 민간 협력체계 구축도 디지털융합촉진과가 주도할 방침이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지난해 12일 23일 정부세종청사 인근에서 개최된 송년 기자간담회에 서 AI 정책 강화를 예고했다.  [사진: 과기정통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지난해 12일 23일 정부세종청사 인근에서 개최된 송년 기자간담회에 서 AI 정책 강화를 예고했다.  [사진: 과기정통부]

정부가 AI G3를 목표로 삼은 가운데 디지털융합촉진과는 특히 유 장관이 집중하는 AI 관련 정책 추진에 초점을 맞춘다는 게 과기정통부 전언이다. 유 장관은 지난해 12월 송년 기자간담회에서 "AI 중심 디지털 정책은 국가 명운을 결정하는 성장엔진"이라며 "과기정통부도 흔들림 없이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디지털융합촉진과는 오는 7월까지 6개월간 한시적으로 운영되며, 필요시 6개월 추가 연장 운영이 가능하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AI 일상화 등 장관께서 유심히 챙기던 업무를 중점적으로 볼 예정"이라며 "(부서 이름과 같이) 디지털 전환와 융합을 촉진하는 부서 성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