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 회장이 'CES 2025' 현장을 방문해 SK 전시관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 SK수펙스추구협의회]
최태원 SK 회장이 'CES 2025' 현장을 방문해 SK 전시관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 SK수펙스추구협의회]

[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최태원 SK 회장이 CES 2025에서 엔비디아와의 AI 반도체 협력 강화를 밝히며 한국 AI 산업이 자생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8일(현지시간) 간담회를 열고 엔비디아와의 협력 현황과 향후 SK AI 사업 비전과  제시했다.

최 회장은 엔비디아와의 협력에 대해 "기존에는 상대의 요구가 '더 빨리 개발을 해 달라'는 것이었는데 최근 SK하이닉스의 개발 속도를 선제적으로 높여 헤드투헤드로 서로 빨리 만드는 것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엔비디아가) 컴퓨팅을 잘 이해해 컴퓨팅 관련 솔루션을 가장 효율적으로 찾아서 만드는 회사라는 것이 황 CEO의 생각이었고 실제로 그렇게 움직이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SK의 새로운 사업 방향도 제시했다. 최 회장은 "AI 반도체를 하고 있지만 새롭게 하고 있는 것은 AI데이터 센터 솔루션이 될 수 있는 모델을 찾는 것이며 AI 데이터 관련 비즈니스를 중점 추진 과제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3년 연속 CES를 방문한 최 회장은 현장의 변화상을 보며 "전부 AI화 되어가고 있다"며 "모든 것에 AI가 들어가기 시작했다는 것을 볼 수 있는 전시"라고 평가했다.

이어 "속칭 피지컬 AI라고 하는 로봇이나 우리 주변 기기 안에 AI가 탑재되는 것이 일상화되고 상식화됐다는 것을 확인하는 자리였다"고 말했다.

최태원 SK 회장 [사진: SK수펙스추구협의회]
최태원 SK 회장 [사진: SK수펙스추구협의회]

한국의 AI 산업 경쟁력 확보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최 회장은 "AI는 이제 좋든 싫든 해야만 하는 것이고 이 경쟁에서 뒤쳐지면 반도체, 조선, 철강 등 그동안 우리가 자랑하던 모든 산업의 경쟁력이 위협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AI를 새로운 산업 혁명의 동력으로 규정하며, 한국 AI 산업의 자생력 확보를 강조했다

그는 "AI는 선택사항이 아니고 인터넷 환경이나 증기기관처럼 모든 분야에 걸쳐 전방위적 변화를 만들고 있는 산업"이라면서 "가능하면 최전선에 서서 이 변화를 이끌어갈 것이냐 따라갈 것이냐에 따라 경제적 부침이 달려 있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스스로 어떤 형태로든 API를 개발해야 한다"면서 "제조업 관련 AI라든지 로봇 관련한 AI라든지 특정 지역을 삼아 전략화 하든지 하기 위한 지원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