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가까이 코로나19 대유행과 소비 부진 충격을 금융기관 대출로 버텨온 자영업자들이 속속 한계를 맞고 있다. 사진은 29일 서울 명동 거리 모습. [사진: 연합뉴스]](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1/548839_513041_550.jpg)
국책연구원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년 만에 우리 경제에 경기 하방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판단을 내놨다.
KDI는 8일 발간한 경제동향 1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생산 증가세가 둔화하면서 경기 개선이 지연되는 가운데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경제 심리 위축으로 경기 하방 위험이 증대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특히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국내 정치 상황으로 경제 심리가 악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KDI가 경기 하방 위험이 커졌다고 언급한 건 2023년 1월호 이후 처음이다. 당시에는 "대내외 금리 인상의 영향이 실물경제에 점진적으로 파급됨에 따라 향후 경기 하방 압력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특히 KDI는 이번 탄핵정국이 과거와 비교할 때 환율과 주가 등 금융시장 지표의 동요는 제한적 수준에 머물렀으나 경제 심리가 크게 위축된 모습이라고 짚었다.
이번 경제동향에서 '과거와 최근 정국 불안 시기에서의 금융시장 및 심리 지표'를 추가로 분석한 결과 12·3 비상계엄 이후 금융시장이 다소 불안정했으나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정국(2016년 10월 24일 이후)보다는 안정된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과거에 비해 원/달러 환율 상승 폭이 제한적인 가운데 국가부도 위험을 반영하는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도 낮은 수준에서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다는 분석이다.
반면 소비자심리지수는 2016년 당시 3개월에 걸쳐 9.4포인트(p) 하락했지만 최근에는 1개월 만에 12.3p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KDI는 "기업심리지수도 과거와 달리 비교적 큰 폭으로 하락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내수는 여전히 부진하며 경제 버팀목이던 수출 증가세도 둔화하고 있다는 게 KDI의 분석이다.
KDI는 "반도체를 제외한 생산과 수출은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으며 건설업을 중심으로 내수 경기도 미약한 흐름을 보인다"고 밝혔다.
상품소비와 건설투자의 부진은 장기화하며 경기 개선을 제약하고 있다고 봤다.
지난해 11월 전산업생산은 1년 전보다 0.3% 줄었다.
건설업생산은 12.9% 급감했고, 광공업생산(0.1%)은 반도체(11.1%)의 높은 증가세에도 자동차(-6.7%), 전자부품(-10.2%) 등이 감소하면서 증가 폭이 축소됐다.
상품소비인 소매판매는 승용차(-7.9%), 가전제품(-4.5%), 통신기기 및 컴퓨터(-6.2%), 화장품(-9.8%) 등 주요 품목에서 모두 줄어 1.9% 감소했다.
[연합뉴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테러·계엄에 모빌리티 서비스 악용...업계 불똥 우려
- 정치 혼란 장기화에 앞이 안 보인다...외신이 韓경제 더 우려
- 계엄 후폭풍' 장기화에 산업계 비상...고환율·증시침체·불확실성 삼중고
- 정부, 1%대 저성장 전망…"필요시 추가보강" 추경 열어놨다
- 환율 쇼크에 '달러 코스피' 2년전으로…外人 저가매수 기대해볼까
- 계엄·탄핵 릴레이에 환율 아노미...명품 플랫폼 '울상'
- [2025전망①] 탄핵·환율·저성장·트럼프...韓 경제 '사면초가'
- 연말 성수기에 고환율·항공사고…여행업계 최대 위기
- 계엄·탄핵 릴레이에 환율 아노미…KDI "1500원 가능성" 경고
- 유엔 "올해 韓경제 2.2% 성장 전망"...주요 기관 예상치 보다↑
- [CES 2025] 필요 없는 화장품 진단…로레알 '셀 바이오프린트' 공개
- 국내 기업 '체감 경기' 3년 연속 기준치 밑돌아
- 지난해 소매판매 2.2%↓...카드대란 이후 최대 낙폭
- 기업 체감경기 2년만에 최대 폭 개선에도…여전히 '비관적'
- 韓美 산업장관 이어 금주 재무장관 접촉…통화스와프 이견 좁히나
- 정부 "3분기 경제 전반적 개선...주가상승, 소비 등에 긍정 효과 기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