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보는 2024 해외 시장의 한국 게임 이용 시간 [사진: 한국콘텐츠진흥원]](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501/548748_512964_2122.png)
[디지털투데이 이호정 기자] 한국콘텐츠진흥원(이하 콘진원)은 지난해 해외 시장 내 한국 게임 이용 실태를 다룬 '2024 해외 시장의 한국 게임 이용자 조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8일 밝혔다.
콘진원은 매년 글로벌 게임 시장의 주요 국가를 비롯해 신흥 국가를 신규로 선정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는 튀르키예, 아랍에미리트(UAE), 태국을 포함한 총 19개국에 거주하는 만 15세 이상 게임 이용자 9700명을 대상으로 한국 게임의 이용 실태 및 행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조사 결과 글로벌의 절반 이상이 한국 게임 이용 시간(이용일 기준 평균)과 지출 비용(월 평균)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고 응답했다. PC 게임의 이용 시간은 브라질이 4시간 16분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뒤이어 사우디아라비아(4시간)와 튀르키예(3시간55분)가 높은 이용 시간을 보였다.
모바일 게임의 경우 인도가 평균 3시간51분으로 독보적인 이용 시간을 기록했으며, 브라질(3시간40분)과 사우디아라비아(3시간39분)가 뒤를 이었다. 콘솔 게임에서는 튀르키예가 평균 4시간5분으로 강세를 보였으며, 미국(4시간4분)과 캐나다(3시간54분)가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전 세계 한국게임 이용 시간은 ▲PC 3시간37분 ▲모바일 3시간12분 ▲콘솔 3시간24분으로 각각 조사됐다.
한국 게임 이용자의 월평균 지출 금액은 PC 48.3달러, 모바일 49.9달러, 콘솔 43.4달러로 나타났다. PC 게임 부문에서는 중국이 월평균 77.5달러로 여전히 높은 소비력을 보였으나, 모바일과 콘솔 부문에서는 UAE가 월평균 각각 79.4달러와 69.1달러를 지출하고 있다고 응답해 가장 높게 조사됐다. 이는 글로벌 신흥 시장으로서 중동의 잠재력을 보여주는 결과라는 설명이다.
이외에도 모바일 게임 이용자 중 32.4%는 ▲블루스택 ▲게임루프 ▲프라임OS와 같은 PC 에뮬레이터를 활용해 게임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뮬레이터 활용 비중은 국가별로 차이를 보였으나, 모바일 게임의 유연성과 접근성을 확장하는 주요 수단으로 분석됐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인건비 35%→25%...'생성형 AI' 게임산업 지형도 바꾼다
- "게임 업계, 크런치 모드 줄었지만 노동 강도 심화"
- 게임산업협회, '2024 글로벌 게임 정책·법제 연구 보고서' 공개
- 콘진원, '청각장애인 게임 접근성 개선방안 연구' 발간
- 스마일게이트, 콘진원과 포용적 게임 디자인 교육 MOU 체결
- [2024결산⑨/K콘텐츠] 글로벌 신드롬에 수출 돌파구 부상...제2 '불닭·오겜'은?
- 콘진원 "게임이용시간과 게임장애 상관성 불명확"
- 콘진원, 2025년 인디게임 지원 사업 참가사 모집
- 콘진원, 브라질·스페인 비즈니스센터 개소
- 콘진원, 올해 방송영상·OTT특화 콘텐츠 지원에 577억 투입
- 국내 게임산업 매출 3.4% 성장한 23조원...수출은 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