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LG전자]
[사진: LG전자]

[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LG전자가 인도법인 기업공개(IPO)와 자사주 소각을 골자로 하는 제2차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17일 공시했다. 이는 지난 10월 발표한 중장기 사업전략과 주주환원정책에 이은 후속 조치다.

인도법인 IPO를 위해 LG전자는 지난 6일 인도 증권거래위원회(SEBI)에 상장예비심사서류(DRHP)를 제출했다. 시장 상황과 사전 수요 예측 결과에 따라 최종 상장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자사주 소각 계획도 구체화해 발표했다. LG전자는 배당가능이익 범위에서 확보한 자사주 약 76.1만주를 내년 중 소각할 계획이다. 이는 LG전자 전체 발행주식 수의 0.5%에 해당한다. 자사주 소각으로 발행주식 수가 감소하면 주당순이익(EPS)과 주당순자산(BPS) 상승 효과가 예상된다.

앞서 LG전자는 지난 10월 '2030 미래비전'을 통해 홈, 커머셜, 모빌리티, 가상공간 등 다양한 영역에서 고객 경험을 연결하는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재무 목표도 구체적으로 설정했다. 2030년까지 연평균성장률과 영업이익률 7%, EV/EBITDA 멀티플 7배를 달성하고, LG이노텍을 제외한 연결 매출액 100조원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2027년까지는 자기자본이익률(ROE) 10% 이상 달성을 약속했다.

주주환원 정책도 대폭 강화했다. 2024사업연도부터 2026사업연도까지 연결 재무제표 기준 당기순이익의 25% 이상을 주주환원에 활용한다. 여기서 일회성 비경상 이익은 제외된다. 투자자 예측가능성 제고를 위해 올해부터 기본 배당액을 1000원으로 설정하고 반기배당을 시행한다.

LG전자는 추가 주주환원 계획을 지속 검토하고, 결정 사항은 즉시 시장과 공유할 방침이다. 중장기 성장전략 실행과 주주가치 제고를 통해 기업가치를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