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현 개발총괄 겸 Solution개발 담당 사장 [사진: SK하이닉스]](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412/544516_508809_2359.jpg)
[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SK하이닉스가 AI 시대 주도권 유지에 초점을 맞춘 조직체계로 전면 개편했다. 회사는 5일 이사회 보고를 거쳐 2025년 조직개편과 임원인사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편의 핵심은 'C레벨' 중심의 새로운 경영체제 도입이다.
SK하이닉스는 핵심 기능별 책임과 권한을 강화하기 위해 기존 조직을 AI Infra(CMO), 미래기술연구원(CTO), 개발총괄(CDO), 양산총괄(CPO), Corporate Center 등 5개 조직으로 재편했다. 이를 통해 곽노정 CEO를 중심으로 한 C레벨 핵심 임원들이 주요 의사결정을 함께 진행하는 동시에, 시장과 기술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한다.
또 개발총괄 조직을 신설했다. D램과 낸드, 솔루션 등 모든 메모리 제품의 개발 역량을 하나로 통합했다. 차세대 AI 메모리 등 미래 제품 개발을 위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개발총괄에는 N-S Committee 안현 담당이 사장으로 승진 임명됐다.
양산 부문에서도 새 조직이 만들어졌다. 회사는 메모리 전공정과 후공정의 양산을 총괄하는 '양산총괄'을 신설했다. 이는 공정간 시너지를 높이고, 향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포함한 국내외 생산기지의 기술 고도화를 통합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조치다.
대외협력 부문에서는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맞춰 외교 통상 전문가를 다수 영입한다. 세계 각국의 반도체 정책과 지정학적 이슈에 대한 대응 능력을 높이겠다는 의도다.
아울러 기술 중심으로 임원 교체를 단행했다. 신규 임원은 33명으로, 이 중 70%를 기술 분야에서 선임했다. 특히 HBM, D램 등 주요 제품 경쟁력 강화에 성과를 보인 조직에서 신임 임원을 다수 선발해 성과 중심의 인사 원칙을 분명히 밝혔다.
곽노정 대표이사 사장은 "회사 구성원들이 하나가 되어 노력한 결과 올해 HBM, eSSD 등 AI 메모리 분야에서의 기술 경쟁력을 확고히 했다"며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뤘지만 경영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있는 만큼, 이번 조직개편과 임원 인사를 통해 기존 사업과 미래 성장 기반을 리밸런싱(Rebalancing)해 AI 메모리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HBM 수출규제로 미중 AI 전쟁 가속...국내 기업들 영향은?
- 美, 中 반도체 추가 제재안 발표…HBM 수출 통제 등
- 리벨리온-사피온 통합... AI 반도체 유니콘 탄생
-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 "산학연과 원팀으로 AI·반도체 기술사업화 성과 창출"
- SK하이닉스, 밸류업 계획 공시...주주환원·재무건전성 '균형' 강화
- SK㈜, 투자기능 통합...CEO 직속 포트폴리오 체제 구축
- 美中 반도체 전쟁 속 인도·베트남·체코 '부상'...韓 기업 대안 될까
- SK하이닉스, AI 데이터센터용 61TB 대용량 SSD 개발
- [2024결산⑦/반도체] HBM發 메모리 빅뱅...AI칩·공급망 이슈로
-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단 지정 완료...2026년 착공 속도↑
- 솔리다임, 소비자용 SSD 사업 철수...AI 데이터센터 집중
- 중국發 AI 서버 수요 잡아라...반도체 업계 '분주'
- 자산 늘고 부채 줄고...SK그룹 '리밸런싱' 효과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