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 [사진: 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411/543636_507969_2623.jpg)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올해 가상자산(암호화폐) 업계가 해킹과 사기로 총 14억8000만달러 이상의 손실을 입었다고 28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웹3 보안 플랫폼 이뮤니파이(Immunefi)에 따르면 2024년 도난당한 총 암호화폐 가치는 14억8000만달러를 넘어섰다. 이는 2023년 대비 15% 감소한 수치로, 암호화폐 투자자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이다.
그러나 미첼 아마도르 이뮤니파이 최고경영자(CEO)는 대규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해킹 공격이 한 번만 더 발생해도 업계는 막대한 피해를 피하기 위해 여전히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매체는 "암호화폐의 가치 상승과 탈중앙화 금융(DeFi)의 총 가치 잠금(TVL)이 급증하면서 암호화폐 시장이 해커들에게 더욱 매력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2023년 말 이후 TVL이 164% 이상 증가했다는 것은 투자자와 암호화폐 창업자들이 더 많은 경계를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경고했다.
올해 11월 가장 큰 해킹 사고로는 2550만달러 규모의 탈라(Thala) 해킹이 꼽혔다. 11월 18일에 발생한 2100만 달러 규모의 DEXX 해킹은 900명 이상의 개인 투자자에게 영향을 미쳤다. 지난 13년 동안 암호화폐 업계는 보고된 785건의 해킹 및 악용 사건으로 인해 190억 달러 이상의 손실을 입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메타플래닛, 비트코인 매입 계획…95억엔 조달
- 비트와이즈, 암호화폐 10종 ETF 승인 신청…BTC·ETH 등
- 비트코인 136억달러 옵션 만기 앞둬…10만달러 가나
- 비트코인 채굴 상장사, 장비·부지 등에 2년간 36억달러 지출
- 러시아, 암호화폐 세법 승인, 최대 15% 소득세 부과
- 홍콩, 암호화폐 면세 추진…아시아 디지털 금융 허브 노려
- 인도, 엄격한 과세에도 암호화폐 채택률 높아…이유는?
- 中 심천 법원 "암호화폐 임금 지급 무효…법정화폐 아냐"
- [블록체인핫이슈] 가상자산 과세 2년 뒤로..."근본적 제도 정비 필요"
- "후원인 줄 알았는데…" 유튜버 해킹 사례 증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