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일 삼성SDS 수원 데이터센터 등에서 관계부처, 통신사, 한전 등 유관기관 합동으로 ‘2024년 정보통신사고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국민 일상생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통신 재난·장애 상황에서 신속히 대응해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는 역량을 점검하는 것이 목적으로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이 중앙사고수습본부장으로 훈련을 직접 지휘했다. 삼성SDS 데이터센터 내 리튬배터리의 화재로 인한 전력 차단이 발생하여 데이터센터에 입주한 삼성전자의 삼성페이 서비스가 전면 중단된 상황을 가정해 정부와 민간이 함께 위기에 대응하는 현장훈련과 범정부 대응·소통 체계를 종합적으로 점검하는 토론훈련을 함께 진행했다.
수원 삼성SDS와 삼성전자에서 실시한 현장훈련에서는 데이터센터의 화재진압 및 부상자 치료·후송을 위해 소방, 경찰, 지자체 등 유관기관과 합동훈련을 했다. 삼성페이를 운영하는 데이터센터간에 서비스 전환 체계를 가동함으로써 하나의 데이터센터가 마비됐어도 다른 데이터센터에서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디지털서비스의 복원력을 중점 점검했다.
특히, 방송통신발전법 및 정보통신망법 등에 따라 통신사업자들은 평소 중단없는 디지털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는 것이 정부 입장이다. ▲삼성SDS 배터리실의 화재 상시 모니터링 체계, 전력망 이원화 등 데이터센터 보호 체계와 ▲삼성전자(삼성페이)의 서비스 다중화 등을 통한 통신장애 예방·대응체계를 이날 시연했다.
과기정통부에서 실시한 토론훈련에서는 국가중요통신망을 활용한 현장 위성중계, 재난안전통신망(PS-LTE)을 활용한 상황보고, 재난관리 주관기관의 상황판단회의를 통한 위기경보 발령 및 단계별 대응절차, 유관기관간의 협력체계 등 현장 위기대응 능력과 범정부 대응‧소통 체계를 종합적으로 점검했다.
한편, 유상임 장관은 안전한국훈련에 앞서 전쟁 등 국가의 재난·위기 상황에서 정부의 상황지휘를 지원하기 위해 과기정통부가 설치·운영하는 국가중요통신망을 긴급 점검했다. 유상임 장관은 위성중계 차량과 통신망의 두뇌 역할을 하는 운영센터를 점검해 상시 통신 소통체계를 확인했다. 또한, 이날 안전한국훈련에서는 국가중요통신망을 활용해 위성중계 차량이 수원 삼성SDS 현장에 투입돼 실시간 중계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디지털 심화 사회에서 국가 경제와 국민 생활을 뒷받침하는 데이터센터와 부가통신서비스의 안전 확보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며 “주기적인 재난 예방 훈련을 통해 안전 대응 역량을 내재화하고, 시스템적으로 대응체계를 마련하는 등 종합적인 디지털 재난관리 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데이터 표준계약서 및 활용안내서 배포
- 과기정통부, 2024 한-중남미 디지털 장관회의 개최
- 제1회 과기정통부-우주항공청 정책협의회 개최
- 과기정통부, 11월1일까지 ‘모바일 코리아 2024’ 개최
- 과기정통부, ITU 세계전기통신표준화총회 마무리
- 과기정통부-특허청, 글로벌 ICT 표준 컨퍼런스 개최
- 계속되는 케이블TV-홈쇼핑 수수료 갈등...정부 가이드라인 한계론
- 과기정통부, 네이버·카카오 등 플랫폼기업들과 협력 방안 논의
- 국립전파연구원, ISO/IEC JTC 1 국제표준화총회 개최
- 과기정통부, 2024 ICT 기기산업 페스티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