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SK그룹]](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409/535375_500159_2233.jpg)
[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SK가 다음 달 2일 최종현학술원에서 '생성형 AI, 모방을 넘어 창작으로: AI는 어떻게 느끼고, 생각하고, 표현하는가'를 주제로 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30일 밝혔다.
최종현학술원은 매년 첨단 과학기술 분야 석학과 전문가를 초청해 과학기술 발전이 미래 사회와 인간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조망하는 컨퍼런스인 '과학혁신 시리즈'를 개최하고 있다.
올해 시리즈에서는 기후 위기와 탄소중립, AI를 활용한 글로벌 신약 시장 분석, 생성형 AI 시대의 AI 반도체 생태계 전망 등을 주제로 다뤘다. 최종현학술원은 최태원 SK 회장이 이사장을 맡고 있다.
발표자로 AI 전문가인 김윤 새한창업투자 파트너, 김지원 SK텔레콤 AI모델 담당(부사장), 서민준 카이스트 김재철AI대학원 교수, 오혜연 카이스트 인공지능연구원장, 이교구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교수 겸 수퍼톤 대표가 참석한다.
김윤 파트너는 음성인식 시리(Siri) 개발을 총괄했다. 김윤 파트너는 컨퍼런스를 이끌며 전문가들은 텍스트 특화형 AI의 기반인 ‘거대언어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이 어떻게 발전할지 등을 놓고 의견을 공유할 예정이다.
김지원 SK텔레콤 AI모델 담당은 SK텔레콤의 자체 생성형 AI인 A.X의 적용 사례와 함께 새로운 언어 모델 패러다임을 소개한다. 또 신약, 로봇 등 분야로의 언어 모델 적용 확장과, SK그룹 차원에서 공용할 수 있는 고유의 파운데이션 모델에 대한 접근법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서민준 카이스트 김재철AI대학원 교수는 챗GPT와 같은 텍스트 특화 AI를 넘어 이미지·영상·음성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이해한 후 결정을 내리는 멀티모달(Multi-modal) AI의 혁신 및 사업화 사례, 언어 모델의 중추인 트랜스포머(transformer) 기술의 한계점과 이를 보완하는 차세대 기술에 대해 발표한다.
오혜연 카이스트 인공지능연구원장은 미국 중심 데이터로 학습한 거대언어모델(LLM)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특정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는 AI 모델의 평가와 개발의 중요성 등 최근 거대언어모델(LLM)의 다중 언어, 다중 문화 학습 분야에 관한 성과와 도전과제를 논의한다. 오 원장은 가짜뉴스 판별 알고리즘을 최초로 개발했다.
이교구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교수 겸 수퍼톤 대표는 음성 AI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이 어떤 혁신을 가져올지 주목한다. K팝,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 측면에서 음성 AI 기술력이 어떻게 글로벌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지 실제 사례를 적용해 소개할 예정이다. 이 교수는 한국인으로는 유일하게 2024년 미국 타임지의 ‘AI 분야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선정됐다.
김유석 최종현학술원 대표는 "최근 유엔이 ‘인류를 위한 AI 거버넌스’ 표준화를 본격화한 것도 AI 기술이 빠른 속도로 거대한 파급력을 자아내기 때문"이라며 "AI를 연구하는 학계, 기업, 소비자 모두가 모이는 이번 컨퍼런스가 AI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쌓을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AI 컨퍼런스는 최종현학술원 웹사이트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된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SK쉴더스, SKB-점핑하이와 점핑 피트니스 시장 공략 협력
- 美 마이크론 호재에…국내외 주요 반도체주 급등
- “AI 연산 인프라, 2030년까지 15배까지 끌어 올린다"...국가AI위원회 출범
- "AI 인프라 선택지 넓힌다"...인텔, 가우디3·제온6 동시 출격
- SK텔레콤, 한국산업 고객만족도(KCSI) 1위
- SK텔레콤, 산업 재해 예방하는 ‘AI 산업안전 패키지’ 출시
- SK하이닉스, 36GB 12단 적층 HBM3E 양산 돌입
- SKT, 표정과 음성으로 정신건강 케어하는 AI 개발한다
- 티앤씨재단, 예비 고등·대학생 대상 장학생 모집
- 수퍼톤, AI 음성 서비스 '수퍼톤 플레이' 정식 출시
- "추격자에서 퍼스트무버로"…최종현학술원, 과학기술 정책 대전환 제안
- 최종현학술원, 트럼프 2기 북미외교 6가지 시나리오 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