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407/527496_492193_5547.jpg)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국가정보원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나 금융기관을 사칭해 한국 국민을 대상으로 금전을 편취한 중국 소재 2개 보이스피싱 조직의 총책 이모씨와 최모씨 관련 정보를 검찰, 경찰에 제공해 국내 입국하는 대상자들을 검거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들 조직은 검찰, 금융감독원 및 은행 등을 사칭해 피해자들이 범죄에 연루됐다고 협박하거나 저금리 대출로 갈아탈 수 있다고 속여 금전을 뜯어낸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까지 확인된 두 조직 관련 범죄 피해액은 총 14억원에 달한다.
국정원은 지난해 3월 이들 조직이 보이스피싱 피해자를 물색하고 실제로 돈을 받아내는 과정까지 확인할 수 있는 여건을 구축했다.
추적 과정에서 조직원들의 실제 사기 시도 영상, 음성을 입수했고 ▲범행 시나리오 ▲피해자 협박용 가짜 구속영장 등도 확보했다. 국정원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해당 보이스피싱 조직들은 일반 기업체의 사업 운영방식에 버금갈 정도로 체계적으로 범행을 저질렀다.
상담 역할을 맡은 조직원들은 자체 제작한 ‘피싱용 양식’에 따라 피해자 ▲신원사항 ▲재직기간, 연봉 등 직장정보 ▲대출 여부, 신용카드 개설연도 등 금융정보 ▲휴대전화 기종 등을 일목요연하게 기입했으며 피싱 실적은 보수 지급 시 성과로 반영됐다.
국정원은 이번 추적 과정에서 짧은 시간 안에 범행이 이뤄지는 범죄 특성을 감안해 피해를 막을 골든타임을 확보하기 위해 보이스피싱 조직의 범행 기도 정보를 입수하자마자 곧바로 경찰에 지원하는 ‘핫라인’을 구축했다.
국정원이 실시간 입수한 범행 장소와 시간, 수금책의 인상착의 정보 등을 경찰청에 지원하면, 경찰청은 관할 경찰서에 긴급 출동을 지시하는 방식으로 28명 대상 총 9억3000여만원의 피해를 사전 예방했다.
국정원 관계자는 “해외에서 활동하고 있는 보이스피싱 조직에 대한 추적 활동을 강화할 예정이다”며 “국내 단순 수거책 검거보다는 범행을 주도하고 있는 해외 원점을 타격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