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AI)의 신뢰성과 성능 향상에 필수적인 고품질 데이터의 활용을 확산하기 위해, 데이터 품질인증 대상을 기존 정형데이터(표, 칼럼 등 명확한 스키마를 가진 구조화된 데이터)에서 비정형데이터(상, 사진, 텍스트 등과 같이 정의된 구조 없이 정형화되지 않은 데이터) 데이터 관리체계(데이터 품질 유지를 위한 업무 프로세스, 관리 거버넌스 등 조직의 데이터 품질관리 역량)까지 확대해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데이터 품질인증은 ‘데이터 산업진흥 및 이용촉진에 관한 기본법’(이하 ‘데이터산업법’)에 따라 데이터의 오류 여부와 품질관리 체계의 수준 등을 심사평가하여 인증하는 제도다. 과기정통부는 본 제도의 시행을 위해 2023년 7월에 데이터 품질인증 기관을 지정한 바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기관들은 같은 해 11월부터 정형데이터 품질인증을 수행 중이다.
이번에 새로 도입된 비정형데이터와 데이터 관리체계 품질인증은 생성형 AI시대의 도래와 자율주행 등 전 산업 분야에 걸쳐 AI 기술이 보편화됨에 따라, 데이터 품질에 대한 높아지는 산업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부 인증 심사체계는 관련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데이터 품질분야 전문가 및 인증기관 간 논의를 종합적으로 거쳐 수립됐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성장 잠재력을 가진 AI·데이터 중소기업 및 초기 중견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데이터 품질인증 지원사업(최대 1150만원, 총 57개사)을 추진하고 있어, 정형데이터, 비정형데이터, 데이터 관리체계 인증에 관심있는 기업은 지원을 신청할 수 있다.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데이터 품질인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품질인증지표 및 심사방법, 인증 시 필요한 준비사항 등을 담은 데이터 품질인증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연말에 배포할 예정이다.
김경만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사회 전반으로 AI가 일상화되는 현 시대에, 고품질 데이터는 신뢰할 수 있는 AI를 위한 핵심 자산”이라며 “과기정통부는 데이터 기반의 혁신적인 신기술·서비스 사업을 추진하는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제도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연내 통신요금 분석보고서 발간 추진...효과는?
- 과기정통부-NIPA, 경북 문경에 초실감 가상제작 인프라 구축
- [단독] 과기정통부, 공공용 주파수 수립계획 연내 마련
- 홍수 위험 알림 서비스, 국내 내비게이션 6개사서 모두 이용 가능
- ‘전파법 시행령’ 개정안 24일 시행...기업 부담 완화
-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설치 및 운영 규정 국무회의 통과
- 과기정통부, ‘스테이지엑스’ 이동통신용 주파수 할당대상법인 선정 취소 확정
- 과기정통부, 연내 5G 3.5㎓ 주파수 대역 ·이음 5G 이행 점검 결과 발표
- 2024 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대전 in 인천 개최
- [단독] 일 안 하는 과기정통부 위원회들...3분의 1 상반기 회의 '제로'
-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英 과학혁신기술부 사무차관 만나 과학기술 협력 논의
- 과기정통부 “티몬, 위메프 환불 사태 악용한 스미싱 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