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다를 탑재한 웨이모 자율주행차 [사진: 웨이모 블로그]](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407/524600_489050_3923.jpg)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2017년 이후 중국의 자율주행차가 지리적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만 약 290만km를 주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관련해 포춘지는 "미국 정부는 프라이버시 문제가 있는 중국의 수집 행위를 면밀히 조사하지 않았다"며 우려를 제기했다.
9일 온라인 매체 기가진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에는 자율주행차를 학습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있고 미국 웨이모, 죽스 등 35개 기업이 시험 주행 허가를 받았다. 이 가운데 7개 기업이 중국에 본사를 두고 있다.
현재 미국은 중국의 소셜 미디어 틱톡을 전국적으로 금지하는 등 대(對)중국 정책을 펼치고 있으나 자율주행차에 의한 정보 수집에 대한 감시 체계는 허술한 상태다. 캘리포니아주에서 운행되는 자율주행차는 주변 이미지를 촬영해 2cm 미만의 오차 정확도로 지도를 만드는데, 포춘지는 "이러한 정보는 대규모 감시부터 전쟁 계획까지 모든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과거 구글이 30여개국에서 와이파이를 통해 무단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스트리트 뷰를 만들기 위해 자동차로 수년간 개인정보를 수집한 사례가 있어, 포춘지는 "감시가 이뤄지지 않는 한 이러한 데이터 수집은 다시 이뤄지고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했다.
그러나 데이터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자율주행차 테스트를 감독하는 연방 정부 기관들은 중국이 어떤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는지 정확히 모니터링하지 않고 있으며, 이를 확인하는 과정도 없는 실정이다. 아울러 중국산 자율주행차와 미국 및 유럽 기업이 운영하는 프로그램 참여 차량에 대한 감시와 관련해 어떠한 규정이나 정책도 마련돼 있지 않다.
한 보안 전문가는 "자율주행차를 테스트하는 중국 기업이 불법적인 데이터 수집을 하고 있다는 증거도, 수집된 데이터가 중국 정부에 의해 사용된다는 증거도 없지만, 설령 그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해도 감시 체계가 놀라울 정도로 허술한 현실을 감안할 때, 미국 당국이 눈치채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테슬라 모델Y, 中 관용차량으로 승인…외국계 車 최초
- 삼성전기·LG이노텍, 전장 부품 사업으로 도약 노린다
- 와이파이 대안으로 주목받는 사설 5G 네트워크
- 자율주행차 사고예방 열쇠…사람 눈동자 모방한 카메라 나왔다
- 中 베이징, 자율주행차 규제 한 발 앞선다
- [모빌리티핫이슈] 날개 꺾인 日 비행택시…中 전기차 韓 진출 '초읽기'
- 도쿄 야스쿠니 신사에 '화장실' 낙서한 중국 남성, 기물훼손 혐의로 체포
- 美 수출 제한에도 中에 AI칩이 유입되는 이유
- 웨이모 로보택시 경적소리에 美 주민들 "잠 못 자 죽겠다"…토로
- 웨이모 6세대 로보택시 공개…다중 센서 '눈길'
- 美 죽스, 자율주행 로보택시 배치 시작…2026년 양산 목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