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세포의 노화 관련 손상을 되돌릴 수 있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사진: 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407/524577_489044_2556.png)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새로운 연구에서 간 노화와 질병을 되돌릴 수 있는 희망이 제시됐다.
8일(현지시간) 메디컬뉴스투데이(MNT)에 따르면 최근 쥐와 진행된 인간 세포 배양 연구에서 간세포의 노화 관련 손상을 되돌릴 수 있는 가능성이 발견했다.
이 연구는 철 의존적인 세포사멸인 페로프토시스를 중점적으로 다루며, 이것은 간세포라고 불리는 간의 주요 세포군에 영향을 미치는 노화 관련 과정이다.
미국 듀크대 의대 연구팀이 쥐와 인간 세포 배양 과정에서 이와 관련된 유전자 군집을 확인했다. 이러한 발견은 약물 개입을 통해 영향을 받는 간세포의 노화를 되돌릴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 노화로 인한 손상을 일부 되돌릴 수 있는 가능성이 발견됐다. 노화 관련 유전자는 철 의존적인 페로프토시스라고 불리는 세포사멸을 유발하며, 이는 또한 심장, 신장 및 췌장 섬유화에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졌다.
연구의 주요 초점은 비알코올성 지방간병증(NAFLD) 또는 대사 기능 이상성 지방간병증(MASLD)이다.
연구자들은 쥐 세포에서 노화를 유발하는 유전자 군집을 확인하고, 비만 및 NAFLD/MASLD를 가진 인간으로부터 수집된 세포를 조사했다. 그들은 동일한 유전자 서명을 발견해 약물 치료의 대상으로 제시했다.
한편 NAFLD/MASLD는 전 세계 성인 중 3명 중 1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흔한 간질환인 동시에 어린이에게 가장 흔한 간질환 형태이다. 직접적인 치료법은 없지만, 건강한 식습관과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진행을 늦출 수 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헥토헬스케어, 체지방 감소 유산균 인체적용시험 결과 국제학술지 게재
- 에너지 드링크와 알코올, 섞어 마시면 뇌 기능에 치명적…연구
- 인공혈액 기술, 어디까지 실현됐을까?
- 고령자의 초가공식품 과섭취, 사망 위험 키워…연구
- 비만 치료제 위고비, 오젬픽보다 더 효능 좋은 약 등장?…연구
- 씹던 껌, 삼켜도 문제 없을까?
- 아토피 피부염과 장내 유산균의 상관관계…연구
- 신석기시대도 평등한 사회였을까?
- 美 연구팀, '칼로리 태우는 세포' 생성 방법 발견…연구
- HIV 치료제 '레나카파비르', 남아공 임상시험서 예방 효과 100%
- 불 끄고 스마트폰 보면 '이 질환' 위험성 증가…주의 필요
- 버터 대신 식물성 오일이 심장병·당뇨병 위험 낮춘다…연구
- 노화 예방 신약 성분 단백질, 수명 연장 일조…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