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처리나 운영 지침 검토 등의 내용으로 위장한 피싱 메일 본문. [사진: 안랩]](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407/523471_487987_2951.jpg)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안랩은 최근 사용자가 직접 악성코드를 실행하도록 유도하는 피싱 메일을 발견하고 사용자 주의를 당부했다.
안랩이 최근 발견한 사례에서 공격자는 먼저, 비용처리나 운영 지침 검토 등의 내용으로 위장한 피싱 메일(보충자료 1 참조)과 함께 첨부파일(.html)을 유포했다. 사용자가 내용 확인을 위해 첨부파일을 열면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문서로 정교하게 위장한 가짜 페이지와 안내 메시지가 나타난다.
안내 메시지에는 ’문서 프로그램의 온라인 버전이 설치되지 않았다’며, ‘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How to Fix’ 버튼을 클릭하라’는 내용이 적어 사용자의 클릭을 유도했다. 사용자가 버튼을 클릭하면 문서 프로그램 설치 안내로 위장한 메시지가 나타나며, 동시에 사용자 PC 클립보드에는 악성코드가 몰래 저장된다. 메시지의 안내문은 실제로는 사용자가 ‘명령어 실행창’ 혹은 윈도 파워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유도한다.
사용자가 문서를 보기위해 무심코 안내에 따르면 붙여넣기 기능(명령어 실행창에서는 ‘CTRL+V’, 윈도 파워셸 프로그램에서는 마우스 우클릭)으로 직접 악성코드를 실행하게 된다. 악성코드에 감염되면 공격자는 사용자 PC에서 시스템 정보 수집, 브라우저 정보 수집, 키로깅, 원격 명령어 실행 ,암호화폐 채굴 등 다양한 악성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안랩 ASEC(AhnLab SEcurity intelligence Center, 안랩 시큐리티 인텔리전스 센터) 분석팀 류성현 연구원은 “공격자는 사용자 의심을 피해 공격 성공 확률을 높이고자 새로운 방식으로 공격을 시도하고 있다”며 “피해 예방을 위해 출처가 불분명한 메일 첨부 파일은 열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