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방송통신위원회는 최근 불법스팸이 급증함에 따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긴급 현장조사에 나선다고 20일 밝혔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따르면 6월 스팸신고가 전월 동기 대비 큰 폭(40.6%)으로 증가했다. 특히 ▲주식투자 ▲도박 ▲스미싱 문자가 증가했으며 주요 발송경로는 대량문자 발송서비스인 것으로 파악됐다.
6월 1일부터 6월 17일까지 스팸신고는 2796만건(5월 동기 1988만건)으로 전월 동기 대비 40.6% 증가했다.
이에 따라, 방통위는 불법스팸 문자 발송률이 높은 문자중계사 및 문자재판매사의 법적 의무 위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긴급 점검을 20일부터 실시할 계획이다.
현장조사 과정에서 불법스팸 발송이 확인된 자 및 이를 방조하거나 필요한 조치를 취하지 않은 문자중계사·문자재판매사 등에 대해서는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과태료 처분하거나 경찰에 고발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문자 발송 시스템 해킹, 발신번호의 거짓표시, 개인정보 침해 등 추가 피해 여부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관계기관과 공동으로 대처할 계획이다.
한편, 방통위는 국민들을 대상으로 악성 스팸 의심문자의 열람에 주의하고 신속 신고해 줄 것을 당부하면서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SMS)의 인터넷주소(URL) 클릭이나 전화연결 금지 ▲불법 및 악성스팸 의심문자는 휴대전화 간편신고 기능 또는 간편신고 앱으로 신고 ▲피해가 의심되면 국번없이 118로 상담 또는 국번없이 112로 신고를 당부했다.
또 대량문자 발송 사업자에 대해서는 문자발송 시스템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 ▲관리자 계정 비밀번호 변경 ▲문자발송 시스템 이용고객 대상 비밀번호 변경 조치 알림 ▲해킹피해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한국인터넷진흥원 보호나라를 참고해 해킹피해 예방조치 확인 등을 당부했다.
조성은 방통위 사무처장은 “정부는 불법스팸이 급증하는 현 상황을 엄중히 보고 있으며, 관계부처 및 업계와 함께 필요한 조치를 적극 취할 것”이라며 “특히 최근 업계를 중심으로 대량문자사업자 전송자격인증제 등 자율규제가 시작된 만큼 사업자도 불법스팸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민들께서도 최근 급증한 스팸문자에 각별히 유의하여 추가적인 피해를 입지 않도록 예방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방통위 "생성형 AI 국민 10명 당 1명 이상 이용, 일평균 이용시간 41분"
- [단독] 방통위, 증거 못 찾았나...네이버 뉴스검색 알고리즘 조사 연장
- 방통위, 허위조작정보 대응 위해 국제 사회와 연대 강화
- 방통위 사무처장, 콘텐츠 경쟁력 우수 사업자 방문
- 방통위, 소상공인 방송광고 제작‧송출 지원
- 방통위, 2024년도 이용자 보호업무 평가위원 위촉 및 간담회 개최
- 방통위, 유료방송에 이중요금 납부 방지 이용자 안내 강화 권고
- 이상인 방통위 부위원장, 필리핀 국가통신위원회 위원과 디지털 시대 이용자 보호 등 논의
- 방통위, 지난해 주요 플랫폼 불법 촬영물 등 8만건 이상 삭제·차단
- 김홍일 방통위원장 ‘자진사퇴’, 윤 대통령 즉각 재가
- 방통위 "지난해 하반기 스팸신고, 상반기보다 30% 감소"
- "불법 스팸 없도록"…과기정통부, '문자사업자' 등록 요건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