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아 대표가 지난 11일 '카카오 데이터센터 안산'에서 열린 '프레스 밋업'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카카오]](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406/520901_485260_366.jpeg)
[디지털투데이 이호정 기자]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연내 카카오톡에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서비스를 내놓겠다고 밝혔다.
정신아 대표는 11일 '카카오 데이터센터 안산'에서 열린 프레스 밋업 행사에 참석해 "애플의 발표를 보면서 결국 AI 시대는 먼저 치고 나가는 사람이 위너는 아닐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며 "지금까지 언어 모델의 싸움이었다면 이제 사용자가 쓸 수 있는 의미 있는 서비스로 넘어가겠다 됐다"고 말했다. 이어 "카카오 AI라는 우리의 서비스에 접목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고민 중"이라고 덧붙였다,
정신아 대표는 카카오의 AI 차별점에 대해 4870만명(지난 1분기 월간활성이용자수 기준)이 이용하는 카카오톡을 통해 AI 기술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가장 우선적인 과제라고 강조했다. 카카오톡을 통한 정말 쉬운 AI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이어 그는 "올해는 AI에 대한 성장을 가져가면서도 단기적으로 장기적인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며 "그래야지 그 위에 AI가 붙을 때 이용자들이 더 잘 활용할 수 있는 피로도 없는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 관점에서 지켜봐달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정 대표는 취임 후 그간의 소회에 대해 "위기 속에 취임해 처음으로 붙었던 키워드가 '쇄신'으로 쇄신이라는 것은 기존의 나를 부정해야 되기도 하기 때문에 어려웠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그간 카카오의 변화에 대해 '카카오'와 '카카오 그룹'의 관점으로 나눠 설명했다.
그는 "카카오는 취임하자마자 '크루톡'을 통해 임직원들을 만나기 시작했고, 결국 현안이라는 문제의 근본 원인이 어디 있을까를 굉장히 많이 파헤쳤던 두세 달이었던 것 같다"며 "거기에 맞게 쇄신이라는 과제를 보면 단기와 중기 그리고 장기라고 볼 때 단기적으로 할 수 있는 건 구조를 바꿔주는 것 그리고 장기로는 그 구조 속에 프로세스와 문화까지 바꾸는 것이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런 관점에서 단기적으로 카카오는 이제 본질에 집중하는 성장에 방향성과 거기에 맞게 원팀으로 달릴 수 있는 조직 구조로 개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룹 관점에서는 "결국 거버넌스와 의사 결정 체계 그리고 그룹에 맞는 리더들의 선임 작업이 많이 이뤄졌다"며 "상반기에는 이것을 하기 위한 셋업의 과정이었다고 보면 하반기에는 이것을 조금 더 공고히 만드는 작업을 하게 될 것 같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카카오 '준신위' 첫 워크숍…불법행위 경영진에 배상책임 검토
- 브라이언임팩트, 신임 등기이사에 AI 전문가 김주호·김은솔 교수 선임
- 카카오, ESG 보고서 ‘2023 카카오의 약속과 책임' 발간
- 카카오-카카오뱅크,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으로 선정
- 최장혁 부위원장 “카카오 개인정보 유출 신고 안해...피해자 개별 통지도 없어”
- 카카오, '세계 환경의 날' 맞아 다양한 캠페인 진행
- 카카오, '칼로 AI 프로필' 서비스 종료
- 카카오임팩트, 홍은택 이사장 후임에 류석영 카이스트 교수 선임
- 카카오, '톡사원증' 출시..간편한 회사 인증 지원
- 카카오톡, PC 버전 로그인 오류... 긴급 점검 진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