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지난 21일과 22일 윤석열 대통령과 영국 리시 수낙 총리가 공동으로 주재한 ‘AI 서울 정상회의’의 성과를 국제사회에 확산하기 위해 ITU가 주최하는 ‘AI for 굿 글로벌 서밋 2024’ 행사 스위스 제네바)에 참여했다.
UN산하 정보통신기술 전문 국제기구로, 유·무선 통신, 전파 등에 관한 규칙·표준 개발·보급과 새로운 기술의 혜택 확산 등을 수행(1865년 설립, 193개 회원국 참여)한다.
‘AI for 굿’는 인공지능(AI)를 활용해 글로벌 도전과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이를 통해 유엔의 ‘지속가능한 개발목표(SDG)’를 달성하고자 전 세계 정부·국제기구·학계·산업계가 참여해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글로벌 플랫폼이다.
강도현 2차관은 오는 29일 AI Governance Day 오전 행사인 AI Governance Breakouts와 오후 행사인 State of Play of Major Global AI Governance Process에 모두 초청돼 이번 ‘AI 서울 정상회의’의 의미와 핵심 성과를 발표했다.
먼저, 오전 행사에서 강도현 2차관은 대한민국이 과거 정보화 시대에 정보통신 강국으로 발돋움해 세계적 모범사례를 제시했듯 AI시대에도 글로벌 AI 거버넌스 논의에 책임있게 기여하기 위해 영국과 함께 이번 ‘AI 서울 정상회의’를 개최하였다는 배경을 소개했다. 안전을 넘어 혁신과 포용의 가치까지 포괄한 이번 AI 서울 정상회의의 의미를 강조하고, 주요 핵심 성과인 ‘서울 선언’과 ‘서울 장관 성명’의 주요 내용과 의의에 대해 공유했다.
오후에 진행되는 State of Play of Major Global AI Governance Process에서 강도현 2차관은 AI 유럽위원회 위원장, EU 집행위원회 연결총국의 사무총장, 미국 전기통신정보청 차관, 중국 산업정보기술부 차관, 일본 총무성 차관, 영국 과학기술혁신부 부국장 등과 함께 이번 AI 서울 정상회의를 포함해 디지털 권리장전, EU의 AI법, 美 AI 행정명령, 히로시마 AI 프로세스 등 그동안 AI 거버넌스 정립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들을 진단하고 향후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한편, 강도현 2차관은 ITU 사무총장(Doreen Bogdan-Martin)과 양자면담을 통해 우리 정부의 새로운 AI·디지털 질서의 기본 방향을 담은 ‘디지털 권리장전’과 ‘AI 서울 정상회의’ 성과에 대한 ITU 차원의 지지와 협조를 요청하는 한편, AI·디지털 규범 선도를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강도현 2차관은 “대한민국이 ‘AI 서울 정상회의’에 이어 이번 ITU가 주최한 AI for 굿에서 또 한 번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된 것은 미국, 영국 등과 함께 AI 거버넌스에 관한 국제사회 논의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라면서 “앞으로도 과기정통부는 안전과 혁신, 포용의 가치를 담은 ‘서울 선언’을 국제 사회에 적극 확산·공유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데이터 표준계약서 초안 마련...AI·데이터 활성화
- 과기정통부, 현대홈쇼핑·NS홈쇼핑 재승인 심사 기준 공개
- 과기정통부, 美 글로벌 AI 프론티어랩 구축 추진
- 과기정통부, 데이터 중심 AI 가속화 밋업(Meet-up) 시리즈 첫 개최
- 과기정통부, 국내 디지털기업 아세안 진출 본격 지원
- 한-베트남 교류·협력 확대...디지털 혁신기업 베트남 진출 지원
- 약관신고대상 된 KB국민은행 알뜰폰 요금제...과기정통부 승인 받을까
- ‘한국어능력시험 디지털 전환 사업’ 첫 수익형 민간투자 SW사업으로 인정
- 제20회 우정사업본부장배 전국휠체어농구대회 개최
- 감사원, 과기정통부 정기운영감사 시작...5G 감사도 곧 마무리
- 과기정통부, 10회 글로벌 ICT 리더십 포럼 개최
- 제23회 아마추어무선 방향탐지(KARDF) 전국대회 개최
- 장애인·고령자 정보접근성 개선 위한 ‘지능정보화 기본법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