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초거대·생성형AI 시대에 요구되는 데이터 전략과, 현장 중심의 데이터 정책 수립을 위해 데이터 중심 AI 가속화 밋업(Meet-up) 시리즈를 기획하고, 28일 오후 데이터·인공지능(AI) 개발자, 스타트업 등과 함께 킥오프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밋업은 다양한 목적에 따라 마련되는 비공식 미팅(an arranged informal meeting)을 말한다.
이번에 기획한 데이터 밋업 시리즈는 지난 2022년 11월 생성형AI 공개 이후 더욱 빠르게 발전 중인 인공지능(AI) 기술과 이에 따라 함께 변화하고 있는 데이터의 특징과 준비성(readiness) 등을 현업인들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신속하게 파악해 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 경쟁력 강화를 촉진하고자 마련하게 됐다.
회차별로 AI·데이터 분야의 주요 이슈를 주제로 선정해 진행되는 밋업 시리즈의 첫 행사는 킥오프(1부)와 1차 밋업(2부) 행사로 나눠 개최했다. 킥오프에서 과기정통부는 밋업 개최의 취지와 계획을 소개하고, 포티투마루(42MARU)의 김동환 대표가 ‘데이터와 AI 이야기 : 딥러닝에서 생성형AI까지’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했다.
생성형AI 플랫폼 개발 스타트업인 포티투마루의 김 대표는 인공지능 기술·서비스의 최근 동향과 기술의 발전에 따른 데이터와 AI간의 관계 변화와 데이터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국내 기업들의 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 정책 방향을 제언했다.
이어지는 2부 행사에서는 ‘밋업 시리즈 1: 생성형 AI 개발 썰 풉니다’라는 타이틀로 IT 유튜버 조코딩이 사회를 맡아 진행했으며 출연자로는 빅밸류 구름 대표, 셀렉트스타 김세엽 대표, 슈퍼브에이아이 이현동 부대표, 스모어톡 황현지 대표가 패널로 참여했다.
이들은 초거대·생성형AI 시대에 필요한 데이터의 특징과 분야별 전문화된 특화 데이터셋과 멀티모달 AI 데이터 등 기존 대비 달라진 시장 수요를 살펴보고, 현업에서 경험하고 있는 변화의 흐름, 데이터·AI 산업에 대한 전망을 함께 논의했다.
이번 행사는 과기정통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함께 하여 온라인(과기정통부 유튜브 채널)과 오프라인으로 동시에 개최됐으며, 행사 종료 이후에도 과기정통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재시청이 가능하다.
김경만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AI 분야에서 경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AI 기술의 발전만큼이나 필요한 데이터가 잘 준비돼 있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밋업 시리즈를 통해 우리나라의 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시의 적절하게 파악하고 잘 준비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국내 디지털기업 아세안 진출 본격 지원
- 과기정통부 “스테이지엑스 자본금 관련 제출자료 검토 중”
- ISMS 인증 의무화...중소 알뜰폰 사업자 비용 부담 커지나
- 알뜰폰 사업자 ISMS 인증·CISO 지정 의무화
- 과기정통부, 우주항공청 개청 맞춰 연구개발 조직 재정비
- 과기정통부, 美 글로벌 AI 프론티어랩 구축 추진
- 과기정통부, 현대홈쇼핑·NS홈쇼핑 재승인 심사 기준 공개
- 과기정통부, 데이터 표준계약서 초안 마련...AI·데이터 활성화
- 과기정통부, ‘서울 선언’ 성과 제네바로 확장
- 한-베트남 교류·협력 확대...디지털 혁신기업 베트남 진출 지원
- 약관신고대상 된 KB국민은행 알뜰폰 요금제...과기정통부 승인 받을까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데이터바우처 수요기업 모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