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지난 22일 제9회 전체회의를 열고, 개인정보보호 법규를 위반한 카카오에 대해 총 151억4196만원의 과징금과 78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시정명령과 처분결과를 공표하기로 의결했다고 23일 밝혔다.
개인정보위는 지난해 3월 카카오톡 오픈채팅 이용자의 개인정보가 불법 거래되고 있다는 언론보도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 여부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해커는 오픈채팅방의 취약점을 이용해 오픈채팅방 참여자 정보를 알아내고, 카카오톡의 친구추가 기능 등을 이용해 일반채팅 이용자 정보를 알아냈으며, 이들 정보들을 ‘회원일련번호’를 기준으로 결합해 개인정보 파일을 생성, 판매한 것으로 확인됐다.
개인정보위는 카카오가 카카오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안전조치의무 등 위반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익명채팅을 표방하며 오픈채팅을 운영하면서 일반채팅에서 사용하는 회원일련번호와 오픈채팅방 정보를 단순히 연결한 임시ID를 만들어 암호화없이 그대로 사용했다.
지난 2020년 8월부터는 오픈채팅방 임시ID를 암호화했지만, 기존 개설됐던 일부 오픈채팅방은 암호화가 되지 않은 임시ID가 그대로 사용됐다. 이 오픈채팅방에서 암호화된 임시ID로 게시글을 작성하면 암호화를 해제한 평문 임시ID로 응답하는 취약점도 확인됐다.
해커는 이러한 취약점 등을 이용해 암호화 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오픈채팅방의 임시ID와 회원일련번호를 알아낼 수 있었고, 회원일련번호로 다른 정보와 결합해서 판매한 것이다.
또 개발자 커뮤니티 등에 공개된 카카오톡 API 등을 이용한 각종 악성행위 방법이 이미 공개돼 있었는데도, 카카오는 이를 통한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 등에 대한 점검과 조치를 제대로 하지 않았던 사실도 확인했다.
카카오는 2023년 3월 언론보도 및 개인정보위 조사과정에서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이용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했지만 유출 신고와 이용자 대상 유출 통지를 하지 않아 개인정보 보호법을 위반했다.
개인정보위는 이용자 개인정보가 유출된 카카오에 대해 안전조치의무 위반으로 과징금을 부과하고, 안전조치의무와 유출 신고·통지의무 위반에 대해 과태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또 카카오에 이용자 대상 유출 통지를 할 것을 시정명령하는 동시에, 개인정보위 홈페이지에 처분 결과를 공표하기로 결정했다.
개인정보위 관계자는 “이번 처분으로 카카오톡 같이 대다수 국민이 이용하는 서비스는 잘 알려진 보안 취약점을 점검‧개선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설계·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인정보 침해 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과 노력도 중요하다는 인식이 자리잡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카카오 관계자는 “회원일련번호와 임시ID는 메신저를 포함한 모든 온라인 및 모바일 서비스 제공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정보다. 이는 숫자로 구성된 문자열로서, 그 자체로는 어떠한 개인정보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이것으로 개인 식별이 불가능하다”며 “또한, 사업자가 생성한 서비스 일련번호는 관련법상 암호화 대상이 아니므로 이를 암호화하지 않은 것은 법령 위반으로 볼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카카오는 전담 조직을 통해 외부 커뮤니티 및 SNS 등을 상시 모니터링하여 보안 이슈를 점검하고 진위 확인 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등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 해당 건에 대하여 개인정보위에 적극적으로 소명했으나 이 같은 결과가 나오게 되어 매우 아쉽다”며 “위 결정에 대해 카카오는 행정소송을 포함한 다양한 조치 및 대응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개인정보위, ‘AI 서울 서밋’ 다음날 AI 데이터 국제 컨퍼런스 개최
- 개인정보위, ‘자동화된 결정에 대한 조치 기준’ 고시안 행정예고
- 개인정보위, 골프존에 과징금 75억원 부과
- 개인정보위, 제1차 2030 청년-픽(PIPC) 소통간담회 개최
- 개인정보위, 프랑스CNIL와 손잡고 아동·청소년 개인정보 권리 알린다
- 개인정보위, AI 프라이버시 민·관 정책협의회 전체회의 개최
- 개인정보위, UN과 ‘인공지능(AI)과 데이터 거버넌스 국제 컨퍼런스’ 개최
- 카카오, 오픈채팅방 개인정보 유출 반박..."행정소송 등 다양한 조치·대응 검토"
- '카카오톡 혜택쌓기' 출시 1년만에 서비스 종료..."선택과 집중"
- 개인정보위, 2024년 제1회 개인정보 기술포럼 세미나 개최
- 오픈AI 챗GPT 해킹 당했다…등판한 해커
- 최장혁 부위원장 “카카오 개인정보 유출 신고 안해...피해자 개별 통지도 없어”
- 카카오톡, PC 버전 로그인 오류... 긴급 점검 진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