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프랑스 파리 올림픽 [사진: 파리 올림픽 공식 홈페이지]
2024 프랑스 파리 올림픽 [사진: 파리 올림픽 공식 홈페이지]

[디지털투데이 황현정 기자] 올 여름 파리 올림픽을 앞두고 전 세계 평화를 위해 '올림픽 휴전'을 외치는 프랑스가 예상 밖의 골치를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올림픽 개최국인 프랑스의 마크롱 대통령은 파리 올림픽 기간(7월 26일~8월 11일) 동안 전 세계 휴전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현재 호주 오른편 남태평양에 있는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의 수도 '누메아'에는 프랑스를 향한 폭동이 시작되고 있다. 지난 19일(이하 현지시간) AFP통신 등 주요 외신을 종합하면 지난 13일부터 뉴칼레도니아 누메아에서 시작된 폭동으로 최소 6명이 사망했다. 올림픽을 앞둔 프랑스를 향한 '피의 시위'가 갈수록 거세지고 있는 것. 이에 파리 올림픽 성화 봉송도 취소됐다.

소니아 라가르드 누메아 시장은 "도시 곳곳의 공공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며 "수백명의 경찰 지원군이 도착했지만, 상황은 여전히 심각하다. 누메아가 포위당하고 있다"고 현지의 급박한 사정을 전했다.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의 수도 '누메아'에는 프랑스를 향한 폭동이 시작되고 있다. 파리 하계 올림픽을 앞두고 전 세계 평화를 위해 '올림픽 휴전'을 외치는 프랑스가 예상 밖의 골치를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진: AP통신]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의 수도 '누메아'에는 프랑스를 향한 폭동이 시작되고 있다. 파리 하계 올림픽을 앞두고 전 세계 평화를 위해 '올림픽 휴전'을 외치는 프랑스가 예상 밖의 골치를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진: AP통신]

이번 폭동은 1853년 프랑스 식민지가 된 뉴칼레도니아에서 독립 지지자들이 프랑스 정부의 뉴칼레도니아 선거법 개정 추진을 반대하면서 촉발됐다. 1998년 체결된 누메아 협정에 따라 뉴칼레도니아 지방선거 투표는 1998년 이전에 현지에 거주했던 사람과 자녀에게만 허용됐다. 이는 소수민족이 된 원주민 카나크족에게 더 많은 대표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조치였다. 그러나 최근 프랑스는 해당 협정이 비민주적이라고 주장하며, 뉴칼레도니아에 10년 이상 거주한 사람에게도 투표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이를 두고 친독립 성향의 카나크 원주민들 사이에서 폭동을 일으킨 것. 이들은 인구의 약 40%를 차지하는 원주민 입지가 더욱 좁아지고, 친프랑스 정치인들에게만 이익이 될 것이라는 이유에서 프랑스의 새로운 선거법 개정을 반대하고 있다. 프랑스 정부 역시 이를 감지하고 개헌안이 최종 통과하기 전에 뉴칼레도니아와 충분히 대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시위대의 움직임은 날로 거세지는 모습이다.
 

전쟁 피해국인 우크라이나 역시 프랑스의 '올림픽 휴전'에 동의하지 않는 모습이다. [사진: AFP 연합뉴스]
전쟁 피해국인 우크라이나 역시 프랑스의 '올림픽 휴전'에 동의하지 않는 모습이다. [사진: AFP 연합뉴스]

이에 올림픽 휴전 제안과 달리 정작 자국령에서의 분쟁조차 프랑스가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더불어 전쟁 피해국인 우크라이나 역시 프랑스의 '올림픽 휴전'에 동의하지 않는 모습이다.

지난 17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AFP통신과의 인터뷰를 통해 "프랑스의 올림픽 휴전을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올림픽 휴전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다"며 "솔직히 말하자면 난 그걸 믿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무엇보다 푸틴을 믿지 않는다"고 강조하며 러시아가 올림픽 휴전 기간을 이용할 수도 있다는 이유를 들었다. 이어 그는 "만약 올림픽 기간 휴전한다면 러시아엔 좋은 일이다. 그들이 중장비를 우리 영토에 가져올 위험이 있고 아무도 그들을 막을 수 없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올림픽 휴전 제안은 정작 전쟁 피해국인 우크라이나 역시 원치 않는 상황이다. 게다가 자국령에서의 분쟁 또한 해결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며 많은 비판에 직면한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