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18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고진 디플정위 위원장 주재로 ‘글로벌 DPG 얼라이언스’(이하 얼라이언스) 킥오프 미팅을 개최했다.
지난해 11월 인공지능(AI)·클라우드 등 디지털 기업들의 해외진출을 원팀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글로벌 DPG 얼라이언스’가 출범했으며, 그동안 3차례의 실무급 얼라이언스 미팅을 개최했다.
이번 국장급 미팅에는 출범식에 참여한 4개 부처(행안부, 과기정통부, 기재부, 외교부) 외에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도 참여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하 NIA),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하 NIPA), 글로벌디지털혁신네트워크(이하 GDIN) 등 출범식 참여 기관 외에 KOTRA,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까지 참여했다.
얼라이언스는 디플정위 민간 위원인 조준희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회장이 의장을 맡고 있으며, 디지털 기업 해외 진출 지원 관련 심층 논의를 위한 4개 하위그룹을 두고 있다. ▲전략·기획 그룹은 국가별·권역별 해외진출 전략 수립, 시장 동향 분석 ▲대내외 협력 그룹은 부처간 협력강화, 해외 파트너십, 기업애로 청취 등 ▲성장지원 그룹은 유망기업 발굴, 해외 판로개척 및 투자유치 지원 등 ▲제도·기술 그룹은 ODA 등 활용 해외 진출 지원, 해외 제도·기술 분석 등을 담당한다.
이날 킥오프 미팅에서는 디플정위 추진단에서 디지털 기업 해외 진출 지원 관련 협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으며, 부처·기관별로 해외진출 지원 현황 및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해외 시장·기술 동향, 입찰정보 체계적 수집 및 통합 제공 ▲해외 진출 지원 사업 및 정부간 교섭 정보 분기별 보고 ▲얼라이언스 범부처 공동 프로젝트 매년 5건 이상 추진 ▲15개국 20개소 핵심 해외 거점 공동 활용 등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한국조폐공사의 디지털 신분증 진출 사례, NIA의 파라과이 데이터센터 구축 사례 등 해외진출 사례를 공유하고, 앞으로도 딪부처·기관의 해외진출 관련 노하우를 지속 공유하기로 했다.
고진 위원장은 “각 부처·기관의 수많은 해외진출 지원 사업을 개별 기업은 물론이고 정부 내에서도 모두 파악하기 곤란하다”며 “그런 의미에서 이번 킥오프 미팅에 디지털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과 관련된 대부분의 부처와 기관이 참여한 것은 의미가 크다. 이번 미팅을 계기로 하나의 팀으로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다양한 방안을 도출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디플정위, 2024년 초거대AI 활용 지원 사업 통합 공고
- 과기정통부·디플정위, 민관협력 디지털 플랫폼 사업 추진계획 발표
- 디플정위원회-광주시, DPG 지역 확산 협력
- 정부, 민간 초거대 AI 활용 지원 사업 본격 착수
- "SRT 승차권, 네카오로 예매한다"…디지털서비스 본격 개방
- 과기정통부, AI 시대 사회적 신뢰기반 조성 논의
- 디플정위, 공공부문 초거대 AI 도입·활용 가이드라인 마련
-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 덴마크 디지털정부 및 양성평등부 장관과 면담
- 디플정위, 2024년 국민드림 프로젝트 신규 과제 설명회 개최
- 정부, 재외국민 신원확인증 서비스 시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