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와이파이 6E 상용화를 위해 2020년부터 추진해 온 6㎓ 대역의 고정‧이동 방송중계용 무선국 주파수 재배치를 완료했으며, 이와 함께 와이파이 7 도입을 위한 제도개선도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와이파이 6E는 와이파이 6와 동일표준으로서 주파수 대역을 2.4/5㎓ 대역 → 6㎓ 대역까지 확장(Extended)한 것이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2020년, 6㎓ 대역 1200㎒ 폭(5925-7125㎒)을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비면허 용도로 공급함으로써 와이파이 6E 상용화를 지원한 바 있으며, 실제로 2021년 이후 국내에 출시된 주요 스마트폰은 와이파이 6E를 지원하고 있다.
대상 단말은 삼성전자 갤럭시S21 울트라, 갤럭시S22 플러스, 갤럭시S22 울트라, 갤럭시S23, 갤럭시S23 플러스, 갤럭시S23 울트라, 갤럭시S24, 갤럭시Z폴드3, 갤럭시Z폴드4, 갤럭시Z폴드5, 갤럭시Z플립5, 갤럭시탭 S8, 갤럭시텝S9 시리즈 / 애플 아이폰 15프로, 아이폰 15프로 맥스 등이다.
다만, 와이파이 6E 활용을 위해 공급이 필요한 6㎓ 대역은 기존에는 고정‧이동 방송중계용으로 사용되고 있었음에 따라 혼‧간섭 방지를 위해 이를 재배치할 필요가 있었으며, 재배치를 위해 방송국에 대한 손실보상도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2020년 12월부터 방송사와 협력하여 고정‧이동 방송중계 주파수 재배치를 단계적으로 추진해 왔다. 2024년 3월까지 3단계에 걸쳐 총 184국의 이동 및 고정 방송중계용 무선국의 주파수를 회수‧재배치했으며, 현장실사를 통해 이행여부 확인 후, 올 3월 총 140억원의 손실보상금을 지급 완료했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동 대역에서 차세대 와이파이 7 도입이 가능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개선도 추진한다.
와이파이 7은 와이파이 6E 등 기존과 동일한 대역을 사용하나, 와이파이 6E 대비 채널 대역폭 2배 확대, 변조 및 스트리밍 방식 개선, MLO(Multi Link Operation, 단말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를 처리) 도입 등으로 속도가 와이파이 6/6E 대비 최대 4.8배 향상될 수 있는 표준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과기 정통부는 와이파이 7 표준안에 부합하도록 채널당 대역폭을 기존 160㎒에서 320㎒까지 확대하는 내용의 기술기준(고시)을 올해 상반기까지 개정할 계획이다.
이번 제도개선을 통해 와이파이 7을 적용한 칩셋, 공유기(AP), 스마트폰 등이 상용화돼 국민들이 공공기관 및 일상생활에서 고품질의 와이파이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와이파이의 적용범위도 기존의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 한정된 영역을 벗어나 확장현실(XR), 산업용 로봇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병택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국장은 “와이파이는 국민들이 일상에서 데이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필수재임은 물론, 최근에는 다양한 산업영역으로 확산되어 디지털 혁신의 기반이 되고 있다”며 “국민들과 산업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부는 제도개선 등을 통해 와이파이 성능향상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AI전략최고위협의회’ 법제도 분과 1차 회의 개최
- 과기정통부, 국제방송기술박람회(2024 NAB Show) 참여
- 과기정통부·디플정위, 2024년 초거대AI 활용 지원 사업 통합 공고
- 과기정통부-외교부, 한-미 AI 워킹그룹 공식 출범
- 과기정통부-NIPA, 2024년 지역 자율형 디지털 혁신 사업 추진
- 과기정통부, 미래 선도 데이터·AI 활용 혁신과제 공모
- AI전략 최고위협의회-AI반도체분과 1차회의 개최
- 2024 월드IT쇼 개막...446개 국내외 기업·기관 참여
- 과기정통부, 월드IT쇼에 주한외교관 초청
- 과기정통부, ICT 기술 사업화 페스티벌 개최
- 과기정통부, ICT 기금 지출 매년 3000억원씩 줄여 적자 메운다
- 범정부 협력 SW 공급망 보안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