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이하 TTA)는 글로벌 디지털 패권 경쟁에서 우위 확보를 위해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국내 산·학·연 전문가의 국제표준화 활동 지원과 규모를 확대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올해는 AI, 양자통신, B5G/6G, 차세대보안 등 디지털 혁신 기술 분야 국제표준화 회의 참가 지원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ICT 기술 및 정책을 국제표준에 반영하기 위한 플레이어인 전문가 규모를 확대하기 위해 국제표준화 전문가 인력풀을 상시모집 체제로 개편하고, 기술 및 표준 정책 전문가뿐만 아니라 특허전문가, 국제간사 등 인력풀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TTA는 ICT 표준화 전문기관으로서,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ICT 표준화 경쟁력 및 주도력을 강화하고자 지난 2000년부터 국내 산·학·연의 국제표준화 활동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해당 프로그램은 과기정통부 정보통신방송표준개발지원사업을 통해 국내 전문가의 ICT 국제표준화 리더십과 국제표준 개발 주도권 확보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국제표준화기구(ITU, JTC1, IEEE, 3GPP 등)에서 에디터 급 이상의 의장단 281석 확보, 국제기고서 제안 468건 등의 성과를 이룬 바 있다.
TTA는 매년 분기별로 표준전문가의 국제표준화회의 참가 지원 수요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 수요조사는 오는 4월 9일부터 22일까지 약 2주간 실시한다.
국제회의 참가 희망자는 TTA 홈페이지를 통해 ICT 국제표준화 전문가로 가입 및 등록 완료 후 수요조사 참여가 가능하다. 심의위원회를 거쳐 선정된 자는 국제회의 참가 및 활동에 소요되는 경비(항공료, 체재비, 등록비 등) 일체를 지원받을 수 있다.
아울러, ICT국제표준화 전문가로 등록하면, 20년 이상 표준화 활동 경력을 보유한 명장급 전문가로부터 국제표준화 활동에 필요한 전반적인 내용을 무료로 멘토링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손승현 TTA 회장은 “디지털 혁신 분야 기술패권 경쟁에서 주도권 확보를 위해서는 ICT 표준 선점이 필수이며, 이를 위해서는 국제기구에서 플레이어로 활동하는 국제표준화 전문가 지원 및 확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국내 전문가들이 디지털 혁신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국제표준화 활동 지원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전문인력 양성도 함께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TTA, 양자기술 등 산·학·연 중심 전략적 표준화 추진
- TTA ‘생성형 AI 레드팀 챌린지’ 개최..."생성형 AI 위험 대응"
- TTA, 59건 표준화과제 채택
- TTA-KISIA, 상호협력 강화
- TTA, 3GPP 기술총회서 5G-어드밴스드 표준 승인
- TTA, 글로벌 표준화 활동 길라잡이 발간
- 과기정통부 ‘생성형 AI 레드팀 챌린지’ 개최
- 과기정통부, 다자 간 R&D 협력 해외사례 분석 및 프로그램 연구
- TTA, 양자기술 분야 ITU-T 기준 표준개발 1위·의장단 진출 2위
- TTA, 자동차·의료 분야 KOLAS 국제공인시험기관 인정
- TTA, 채용 분야 최초 인공지능 신뢰성 인증(CAT) 부여
- TTA, IT여성기업인협회와 업무협약
- 3GPP, 새로운 6G 로고 확정 및 표준화 마일스톤 발표
- TTA, 바이오헬스 분야 ICT 융합 활성화 촉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