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무기력과 우울감 등의 증상이 장기간 지속된다면 '계절성 우울증'이 아닌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사진: 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404/512140_476825_710.png)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유독 봄철 무기력과 우울감을 겪으며, 계절을 타는 이들이 있다. 단순히 '봄을 탄다'며 대수롭지 않게 넘기기 일쑤지만, 증상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계절성 우울증'이 아닌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스프링 피크'(Spring Peak)라는 말이 있다. 1년 중 봄철에 자살률이 가장 높은 현상을 일컫는 말이며 비단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국가통계포털(KOSIS)에 등록된 자료를 보면 최근 3년간 국내에서 자살률이 가장 높은 시기는 2021년은 3월, 2022년은 4월, 2023년은 5월이었다. 스프링 피크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봄철 우울증과 연관된 것으로 분석된다.
봄철 우울증은 주로 사회·심리적 요인과 관련이 있다. 봄에는 입학, 졸업, 취업 등 변화가 많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을 못 하거나 비교하는 마음이 커지며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경우라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이런 증상이 계속될 경우 사회·직업적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
우울증의 가장 적절한 치료법은 생활 습관 개선과 함께 약물치료와 심리치료를 병행하는 것이다. 우울증은 조기 진단과 재발 방지 치료가 핵심인 질환이다. 그러므로 2주간 봄철 우울감이 지속된다면 망설이지 말고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언더그라운드IT] “큰 힘에는 큰 책임이 따른다”
- ADHD 치료제, 자살 예방에 도움돼…연구
- '지금 행복하신가요?'…행복해지려면 '이것' 실천해야
- 스마트폰 도입 이후 청소년 우울증 증가?…"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사회"
- FDA "비만 치료제와 자살 충동 연관 없어"…제약계 반응은?
- 산전·산후 우울증, 극단 선택 위험 높여…연구
- 앱으로 우울증 치료한다? 美 FDA 승인받은 '리조인'
- 포옹·악수가 물리적 통증·심리적 불안 낮춘다…연구
- 마음의 감기 '우울증' 원래 자주 찾아와…일상 속 치유법은?
- 추워지는 날씨에 느껴지는 우울증과 무기력증…'이렇게' 극복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