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가 첨단 인공지능(AI) 기술 및 칩 공급망의 주요 허브로 급부상하고 있다. [사진: 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403/509543_474530_5058.jpg)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최근 말레이시아 쿨림 산업 공원에 새로운 공장이 들어섰다. 2024년 말 가동을 앞둔 해당 공장은 오스트리아 AT&S의 공장으로, 회사는 최근 말레이시아의 전기전자 제조 중심지로 본사 이전을 앞두고 있다.
본사를 이전하거나 말레이시아로 사업을 확장하는 유럽 및 미국 기업은 AT&S 뿐만이 아니다. 이렇듯 말레이시아가 첨단 인공지능(AI) 기술 및 칩 공급망의 주요 허브로 급부상하고 있다고 13일(현지시간) 뉴욕타임즈(NYT)가 전했다.
AI 열풍과 함께 세계적인 기술 기업으로 떠오른 엔비디아는 말레이시아의 공공기업과 협력해 43억달러(약 5조6622억원) 규모의 AI 클라우드 및 슈퍼컴퓨터 센터를 설립을 추진 중이다. 미국 칩 제조업체 거인 기업으로 떠오른 인텔과 독일 제조업체 인피니온 역시 말레이시아에 각각 70억달러(약 9조2162억원)를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에릭슨, 보쉬, 램 리서치 등의 기업도 말레이시아에서 사업을 확장하는 추세다.
말레이시아가 첨단 AI 칩 산업과 관련해 공급망 허브로 떠오르는 이유는 왜일까. 미국과 중국 간의 경쟁과 무역 제한이 계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거대 기술 기업들이 공급망과 생산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활동 영역을 확장했기 때문이다.
즉, 말레이시아의 급부상은 지정학적 긴장과 경쟁이 세계 경제 풍토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을 시사한다고 매체는 설명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추락 위기 딛고 AI로 급부상해 IPO 준비하는 中 스타트업
- "생성형 AI에 대한 과도한 기대치 낮춰라"...빅클라우드들 '톤 다운'
- 스타트업 생태계 늘려가는 '엔비디아'…안정성 수요 확보
- 엔비디아, 저작권 침해 집단 피소…美 작가들 뿔났다
- 엔비디아 그래픽카드 '지포스 GTX' 생산 중단한다
- 엔비디아, S&P500 사상 최고치 견인에도 불안한 이유는?
- 美, 유엔에 'AI 시스템 글로벌 규제' 결의안 제출
- 세계에서 가장 빠른 AI 칩 나왔다…"트랜지스터만 4조개"
- 존슨앤드존슨, 엔비디아와 손잡고 수술용 AI 앱 개발한다
- 이어지는 美中간 칩 전쟁 속에서 바이든이 꺼내든 카드는?
- 美 고강도 무역 제재에 폭발한 中…WTO에 제소
- 엔비디아, 美 조지아 공대와 협력 'AI 슈퍼컴퓨터' 개발
- 말레이시아, 동남아 데이터센터 강국 급부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