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치료제와 극단적 선책 충동 사이 연관이 없다는 FDA 입장이 나왔다. [사진: 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401/501573_467081_522.png)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미 식품의약국(FDA)이 체중 감량에 도움을 주는 세마글루타이드가 함유된 약물이 극단적 선택 충동과 연관이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이를 두고 제약계 내 논쟁이 펼쳐졌다.
11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FDA는 극단적 선택 충동의 부작용 가능성으로 마운자로, 오젬픽, 위고비, 젭바운드 등에 대한 규제 조치의 필요성을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며칠 뒤 "체중 감량 치료제와 극단적 선택 충동의 관계를 입증하지 못한다고 판단했다"고 전했다.
FDA는 임상 시험 데이터를 검토했지만 약물 복용과 극단적 선택 충동, 행동 사이에 연관성이 없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면서도 FDA는 "작은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은 확실히 배제할 수 없다"며 여지를 남겼다.
국립약물남용연구소(NIDA)와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 연구팀이 지난 5일 학술지 네이처 메디슨(Nature Medicine)에 올린 논문을 보면 6개월간 위고비 등 체중 감량 치료제를 처방받은 24만명의 건강 기록을 분석한 결과 위고비를 복용한 환자는 다른 환자에 비해 극단적 선택 충동 위험이 49~73% 낮았다.
다만 일부는 네이처 메디슨의 연구 결과를 지나치게 확대해석하는 것을 경고했다. 존스 홉킨스 블룸버그 공중보건대 약물 안전 및 효과 센터 토마스 J. 무어 교수는 "세마글루타이드 복용 환자의 상당수가 극단적 선택 충동 위험이 있는 정신과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다"면서 "다른 항비만 약물을 복용하는 피실험자 사이에서 이 같은 약물 사용이 훨씬 더 높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논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분석된 기록이 극단적 선택 충동 위험에 대한 결론에 도달할 만큼 충분히 포괄적이지 않다"고 덧붙였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인슐린, 당뇨-비만 유발한다? 통념 뒤짚는 주장 나왔다
- 위장에서 진동으로 포만감 자극해 식사량 줄여주는 캡슐 등장…연구
- 당뇨병·비만 치료제 '세마글루타이드', 과다 복용 시 '이런' 문제점 발생해
- 건강하게 살기 위해 하는 운동, 과하면 되려 '독'…연구
- 찬 바람 부는 겨울철 더 위험한 '심방세동'…어떻게 예방할까
- AI 기반 알츠하이머 진단 프로그램 '브레인시', 미 FDA 승인
- 극단적 선택, "삶이 아닌 고통을 멈추길 원하는 것" 주장 제기
- 유전자 치료로 처음 소리 들었다…청각장애 완치 희망 보이나
- 비만, 미토콘드리아 기능 방해해 지방 태우는 능력 잃게 만들어…연구
- 美 FDA, 중증 동상 치료제로 '일로프로스트' 승인
- FDA, 스마트폰 연동해 혈당 측정하는 덱스콤 시스템 허가
- 노보 노디스크, 신규 비만 치료제 선봬…"석달 내 체중 13% 감소" 주장
- 살 빼주는 기적의 약 '오젬픽'…7000원에 살 수 있다고?
- "날씨 좋은데 왜 우울하지"…유독 봄 탄다면 '이 증상' 의심
- 21세기 만병통치약으로 떠오른 비만치료제 '위고비'…무슨 효과 있나
- 다이어트 특효약 알려진 '오젬픽'…부작용 우려도 만만찮아
- 국내 '불법 우황' 의혹 지속 확산…소비자 주의보
- 살 빼는 건 좋은데…오젬픽 성분 '세마글루타이드', 근육 감소 유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