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금융사기, 피싱 등의 확산을 막기 위해 발령하는 금융 소비자경보가 올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사진: 셔터스톡]
 금융당국이 금융사기, 피싱 등의 확산을 막기 위해 발령하는 금융 소비자경보가 올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금융당국이 금융사기, 피싱 등의 확산을 막기 위해 발령하는 금융 소비자경보가 올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올해 각종 금융사기와 범죄가 창궐한 영향이다.

13일 금융감독원의 소비자경보 발령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12월 12일까지 24건 경보가 발령됐다.

금융 소비자경보는 보이스피싱 등의 피해 예방을 위해 2012년 도입됐다. 2012년 3건이 발령된 후 2013년 10건, 2014년 20건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2015년 7건으로 낮아진 후 매년 10건 이내로 발령됐다.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금융사기가 증가하면서 다시 19건이 발령됐다. 이후 2021년 16건, 2022년 19건을 기록했다.

그리고 올해는 역대 최대치인 2014년 20건을 넘어서는 24건의 소비자경보가 발령된 것이다. 1달에 2건의 소비자경보가 내려진 것이다. 이는 12월 12일까지 통계로 올해 안에 1~2건의 경보가 더 발령될 가능성도 있다.

2012년부터 2023년까지 금융 소비자경보 건수 [표: 금융감독원 데이터 제작]
2012년부터 2023년까지 금융 소비자경보 건수 [표: 금융감독원 데이터 제작]

올해 금융 소비자경보가 역대 최대로 발령됐다는 것은 올 한해 동안 각종 금융사기가 확산됐다는 의미다. 

실제로 올해 2월 2일 1호 경보는 은행 사칭 피싱사이트를 주의하라는 내용이었다. 이어 2호로 허위 정책자금 대출을 빙자한 보이스피싱 경보가 내려졌다. 

3호는 유명 연예인을 내세운 대체불가토큰(NFT) 투자 사기였으며 4호는 해외 비상장주식 투자를 권유하는 투자사기였다.

5, 6호는 보험 가입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는 내용이었지만 다시 7호는 금융당국 명의의 가짜 문서를 활용한 가상자산 투자 권유 사기였다. 8호는 온라인 쇼핑몰 이용 시 카드정보 유출에 대한 당부였고 9호는 택배회사, 정부기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경고였다. 10호는 카카오톡을 이용한 은행 사칭 피싱 주의보가 내려졌다. 

11, 12, 14, 15호는 민원 사례에 따른 소비자 유의사항 전파였다. 13호는 해외 여행 시 카드 분실과 위변조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는 내용이었다.

16호는 도수치료 등을 가장한 보험사기 주의보, 17호는 정부지원을 사칭한 불법 광고에 대한 경고, 18호는 소상공인 정책대출을 미끼로 한 보이스피싱 주의보였다.

19호는 가상자산 연계 투자사기, 20호는 치과 치료 관련 보험사기, 21호는 자동차 정비업체 관련 보험사기를 경고하는 것이었다. 22, 23호는 불법 채권추심 주의보였고 12월 12일 내려진 24호는 신용카드 리볼빙 이용 시 주의 사항 전파였다. 리볼빙은 신용카드 사용 금액 중 일정 금액을 결제하고 나머지는 나중에 갚는 서비스다.

24건의 경보 중 피싱 관련이 5건, 투자사기 4건, 보험사기 3건 등 범죄에 대한 경고가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정부가 금융범죄에 대한 단속, 처벌을 강화하고 있지만 아직 갈길이 먼 상황인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경제 상황이 안 좋아지면서 금융사기, 보이스피싱이 더 기승을 부리는 것 같다”며 ”범죄 시도가 많아지면서 경보 역시 많아진 것이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