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들은 넷플릭스, 티빙 등 롱폼보다는 숏츠, 틱톡 등 숏폼에 더 많은 시간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셔터스톡]
한국인들은 넷플릭스, 티빙 등 롱폼보다는 숏츠, 틱톡 등 숏폼에 더 많은 시간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유튜브 숏츠, 인스타그램 릴스, 틱톡 등 숏폼 플랫폼이 있는가 하면 넷플릭스, 티빙, 디즈니플러스 등 롱폼 플랫폼이 있다. 두 종류 모두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한국인들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보다 숏폼 플랫폼을 훨씬 많이 사용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6일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이하 와이즈앱)는 숏폼·OTT 플랫폼 간 사용 시간 비교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구글 안드로이드와 애플 iOS를 표본 조사한 결과 지난 8월 유튜브·틱톡·인스타그램 등 숏폼 플랫폼의 1인당 월평균 사용 시간은 46시간 29분으로 집계됐다. 이는 넷플릭스·티빙·디즈니플러스·쿠팡플레이·왓챠 등 OTT 플랫폼의 1인당 월평균 사용 시간(9시간 14분) 대비 5배 차이를 보였다.

숏폼 플랫폼 중에서는 원조격인 틱톡이 1인당 월평균 사용 시간이 21시간 25분으로 조사됐다. 대표적인 OTT 플랫폼 넷플릭스의 1인당 월평균 사용 시간인 7시간 7분과 대비하면 3배 넘게 틱톡이 많았다. 같은 기간 틱톡 사용자는 663만명으로 넷플릭스 사용자(1207만명)보다 적지만 월 사용 시간 합계는 33억분 더 많았다고 와이즈앱은 설명했다.

전 세계적으로 숏폼 플랫폼이 대세로 자리 잡았지만 전문가들은 뇌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유튜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숏폼 일일 평균 조회수가 500억회를 넘겼다. 하지만 부작용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전문가들은 자연에서 느낄 수 없는 도파민 분비량이 합성마약과 비슷하다고 진단하거나, 우울·불안을 느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