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가 개최한 2023 NEMO 에서 김정민 카카오모빌리티 AI 연구개발 리더(왼쪽부터). 박창수 자율주행 테크 리더, 홍승환 디지털트윈 테크 리더가 답변하고 있다. [사진: 조믿음 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개최한 2023 NEMO 에서 김정민 카카오모빌리티 AI 연구개발 리더(왼쪽부터). 박창수 자율주행 테크 리더, 홍승환 디지털트윈 테크 리더가 답변하고 있다. [사진: 조믿음 기자]

[디지털투데이 조믿음 기자] 모빌리티 애플리케이션 생태계 속에서 최단 거리의 최적 경로 추천에서 나아가 자연 경관이 아름다운 드라이브 길, 아이와 함께 여행하기 좋은 길 등 이용자 상황에 맞는 길을 추천해주는 시대가 열릴 전망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8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파르나스에서 '넥스트 모빌리티'(NEMO) 행사를 진행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2024년 상반기까지 모빌리티에 특화된 생성형 AI(인공지능)을 가진 플랫폼으로 진화하겠다고 선포했다.

챗 GPT가 촉발한 생성형 AI 시장은 산업 전반을 빠르게 변화시켰다. 구글의 팜2(PalM2)부터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 오픈AI의 GPT-4 등 다양한 생성형 AI가 존재한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카카오모빌리티는 자사 가진 모빌리티 데이터를 기반으로 초거대 언어모델(LLM)을 파인튜닝한 방식으로 모빌리티에 특화된 생성형 AI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김정민 카카오모빌리티 AI 연구개발 리더는 "카카오 모빌리티는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다양한 형태의 모빌리티 데이터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기업"이라며 "이런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존 기본 모델들을 보다 특화해서 학습한다면 대다수의 서비스에 좋은 성능 향상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모빌리티 플랫폼에 특화된 모델을 구축해 비용 대비 효율적인 생성 AI를 구축하는 것으로 목표한다. 연산량을 줄이고 원하는 퀄리티를 얻기 위해 모빌리티라는 특성화된 주제를 중심으로 경량화된 생성형 AI 모델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우선적으로 여행과 관련된 서비스가 공개될 예정이다. 일반적으로 매일 이동하는 출근길보다는 여행이나 휴양길에서 이용자가 상황에 따라 만족할 수 있는 여정을 AI가 추천해주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김 리더는 "편한 도로 기준에 대해 국내 내비게이션 시장은 상향 평준화 됐으며 사실상 최고 수준에 달했다. 사용자의 컨텍스트(맥락)과 니즈를 정성적으로 이해하지 못하면 플랫폼 만족도를 높이기 힘들 것"이라며 "매일 똑같은 출퇴근 길보다는 여행이 개개인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런 것에서 가능성을 봤다"고 대답했다. 

한편 자율 주행 서비스에 대해서는 내년에 유상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계획을 밝혔다. 

박창수 리더는 "기존에 수집한 도메인 어뎁트를 기반으로 다른 지역에서도 빠르게 학습할 수 있도록 연구 개발하고 있으며 현재 상당히 높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며 "내년에는 유상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려 한다. 무인자율주행은 2025년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