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박윤규 2차관이 서울대학교병원을 찾아 디지털 치료기기 연구개발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기업들의 의견을 청취했다고 23일 밝혔다.

서울대학교병원은 과기정통부와 보건복지부가 지난해부터 추진 중인 ‘자폐 혼합형 디지털 치료기기 연구개발’ 사업을 통해 영·유아의 자폐 여부를 조기 진단하고 맞춤 치료를 제공하는 치료기기를 개발 중이다.

이날 박윤규 차관은 병원 인근의 '인공지능(AI) 리빙랩'을 방문했다. 지난 4월에 구축된 리빙랩에서는 데이터를 수집해 자폐 증상의 진단을 돕고 있다. 박 차관은 서울대병원의 디지털 치료기기 3종 개발 계획을 듣고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치료기기 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해 신속한 허가 절차를 마련하겠다고 했다. 또 미국, 일본 등 해외 병원 및 대학 등과 개발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박 차관은 “디지털 치료기기는 환자들이 스마트폰을 통해 어디서든 지속적인 건강 관리를 가능하게 해 지역별 의료 격차 해소에도 기여 할 것”이라며 “이러한 의료 혁신에 보건복지부, 식약처와 함께 제도 개선도 병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