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수현 게임문화재단 국장(왼쪽부터), 김정수 원곡초 교사, 김기한 서울대 체육교육과 교수, 조현래 한국콘텐츠진흥원장, 한덕현 중앙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블라단 스타서빅 시드니대 정신의학 교수, 쥬노 킴 왕립덴마크대 시각예술학 교수, 에스펜 올세트 덴마크 코펜하겐IT대 게임학과 교수.[사진:최지연 기자]
조수현 게임문화재단 국장(왼쪽부터), 김정수 원곡초 교사, 김기한 서울대 체육교육과 교수, 조현래 한국콘텐츠진흥원장, 한덕현 중앙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블라단 스타서빅 시드니대 정신의학 교수, 쥬노 킴 왕립덴마크대 시각예술학 교수, 에스펜 올세트 덴마크 코펜하겐IT대 게임학과 교수.[사진:최지연 기자]

[디지털투데이 최지연 기자] 게임을 질병으로 주장하고 게임 중독을 범죄의 원인으로 지목하는 것에 대한 전문가들의 비판이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살인 사건 등의 범죄와 게임을 연결하는 것은 본질적인 원인이 되지 못한다며 정확한 문제와 원인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과 게임문화재단은 17일 ‘게임 문화 게임 온 컬쳐(Game on Culture)’ 포럼에 앞서 기자 간담회를 개최하고 질의응답하는 시간을 가졌다.

현장에는 조현래 콘진원 원장, 강준구 한국게임산업협회 팀장, 김정수 원곡초등학교 교사, 김기한 서울대학교 체육교욱과 교수, 한덕현 중앙대학교 병원 교수, 블라단 스타서빅 시드니대학교 정신의학 교수, 쥬노 킴 왕립덴마크예술학교 시각예술학과 교수, 에스펜 올세트 코펜하겐IT 대학교 게임학과 교수 등이 참석했다.

최근 신림동 흉기난동 사건이 발생하면서 원인으로 게임 중독이 지목된 바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사건의 본질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며 국민 정신 건강 관리가 부실하다고 지적했다.

한덕현 중앙대 교수는 "신림동 흉기난동 사건의 본질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며 "본질은 게임을 많이 한 사람이 게임을 흉내내서 사람을 죽였다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일반 국민들의 정신보건법이나 정신 관리에 대한 것들이 허술해서 현장 혹은 현자가 아닌 사람일지라도 거기에 대한 평가를 제대로 못 받고 그 사람이 어떤 문제를 일으켰을 때 제대로 된 평가나 치료, 진단에 대한 과정없이 국민들이 불안해 한다는 게 이 사건의 본질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과거에 잠시 게임을 했었다고 해서 이 부분을 침소봉대로 표한하는 것은 정신과 의사로서는 아쉬운 부분”이라며 “그 사건에 대한 본질은 환자, 보호자 그리고 일반 국민들이 보호받고 무서워하지 않는 사회가 될 수 있도록 여태까지 준비를 안됐다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덧붙였다.

살인사건 등 범죄자들과 게임을 연결하기 힘들다는 주장도 나왔다. 에스펜 올세트 코펜하겐IT 대학교 게임학과 교수는 “살인 사건을 게임 중독, 장애 등 게임을 원인으로 연결하는 것은 단순하고 간결한 결과다. 굉장히 다양하고 복합적 문제가 연결돼있다”며 “미국에서 총기 난사 사건을 연구했지만 대부분의 가해자들은 게임을 즐기지 않았다. 연결성도 크게 찾을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최근 게임을 교육적으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뿐만 아니라 글로벌 국가들은 기능성 게임을 활용해 아이들의 교육에 활용하는 시도를 이어가는 연구를 꾸준히 하고 있다. 이에 문제의 원인을 사회적으로 살펴봐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쥬노 킴 왕립덴마크예술학교 시각예술학과 교수는 “스웨덴은 게임을 교육적 매체로 사용한다. 다수의 학생이 게임을 하면서 교육을 듣는다. 스웨덴 정부가 게임을 사회적 문제로 생각하는 장치로 생각했다면 교육에 적용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폭력과 살인 등이 벌어지는 것은 사회적인 만족을 찾지 못하기 때문이다. 사회적 원인을 더 살펴봐야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한국콘텐츠진흥원과 게임문화재단은 17일부터 18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에서 ‘게임 문화 게임 온 컬쳐(Game on Culture)’ 포럼을 개최했다.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 및 전문가들이 모여 게임문화의 강점과 미래적 가능성을 탐색하고 논의하는 자리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