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셔터스톡]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올 2분기 암호화폐 및 디파이(DeFi) 분야에서의 해킹 공격 횟수가 지난해에 비해 증가했으나, 도난된 자금의 총액은 감소했다고 6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더블록크립토가 전했다.

최근 암호화폐 버그바운티 플랫폼 이뮨파이(Immunefi)는 올 2분기 해킹 및 사기로 인해 손실된 암호화폐 자금의 양을 평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분기 해킹 및 사기 등의 공격 횟수는 지난해 49건 대비 65.3% 증가한 81건을 기록했다. 그럼에도 총 손실 금액은 지난해 대비 60.4% 감소했다.  

2분기 손실 금액은 약 2억6550만달러(약 3470억8815만원)로, 올해 총 손실 금액인 7억2000만달러에 상당 부분 기여했다. 

또한 지난 6월 북한 해커 조직 라자루스(Lazarus)와 연관된 아토믹 월렛(Atomic Wallet) 해킹 사건으로 인한 손실은 전체 손실의 49.7%를 차지했다.

공격 종류로는 해킹이 83.1%로 2분기 손실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사기, 스캠, 러그 풀이 16.9%를 차지했다. 그러나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하면 해킹으로 인한 손실은 66.4% 감소했으며 사기, 스캠 러그 풀로 인한 손실은 225.4% 증가했다. 

대상 체인 측면에서는 BNB 체인과 이더리움이 가장 많이 공격받았다. 올 2분기 BNB체인 공격은 36건으로 손실의 44.4%를 차지했으며, 이더리움은 26건으로 32.1%를 차지했다. 디파이 플랫폼은 2분기에도 여전한 주요 공격 대상이었으며, 총 손실의 86.1%를 차지했다. 

올해는 지난해와 비교해 공격이 증가했으나, 손실 자금 기록을 세운 지난해 30억달러에는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