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셔터스톡]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대만은 전쟁과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2024년 말까지 통신망 강화를 위한 야심찬 목표 설정했다.

오드리 탕(Audrey Tang) 대만 디지털담당 정무위원은 긴급 상황에서 대만의 모든 통신망의 차단 가능성에 대비해 7400억달러(약 977조원) 규모의 예산을 집계했다고 29일(현지시간) 블룸버그가 전했다.

이번 대만의 재난 대응 계획은 대만 전역에 고정형 및 이동형 위성 수신기 700개를 설치할 계획이며, 저궤도(LEO) 및 중궤도(MEO) 위성의 다중 궤도에서 통신을 수신하는 것이 목적이다.

탕 위원은 "최악의 시나리오는 대만의 주요 통신 지점들과 전원 공급 장치가 파괴되는 것"이라며 "적들은 섬의 주요 시설이 어디에 있는지  알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지진 외에도 사이버 공격을 포함한 중국과의 잠재적 충돌과 관련된 사건을 간접적으로 표현했다.

또한 대만은 다양한 위성 공급업체와 협약을 통해 디지털 망을 강화하고자 한다. 이에 대만 정부는 최근 위성 업체를 대상으로 입찰을 개시했다.

탕 위원은 영국정부, 세계 3대 이동통신사 바르티(Bharti Global), 소프트뱅크 그룹 등의 투자자를 보유한 위성 공급 업체 원앱(OneWeb)과 아마존닷컴의 카이퍼 프로젝트(Project Kuiper) 등이 관심을 표명했다고 밝혔다.

현재 실시간 긴급 재난망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은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위성 인터넷 서비스뿐이다. 스타링크는 현재 벌이지는 러시아-우크라이너 전쟁에서도 유효성을 증명하고 있다.

한편, 대만의 마츠 제도(Matsu Islands)는 지난 2월 중국 국기를 게양한 보트에 의해 해저 인터넷 케이블이 절단된 바 있다. 아울러 2006년 대지진으로 대만 주변의 8개 해저 케이블이 절단돼 아시아 전역의 인터넷, 은행 및 국경 간 거래가 중단되기도 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