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오픈AI의 챗GPT 서비스가 최근 아이폰 사용자를 위한 앱을 18일(이하 현지시간) 출시했으며, 안드로이드 버전도 곧 출시할 예정이다. 

관련해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 챗GPT 관련 플리스웨어(FleeceWare)가 다수 등장해 주의가 요구된다고 IT매체 폰아레나가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플리스웨어는 바가지를 씌우는 앱이라는 뜻으로 악성 코드를 심거나 해킹을 하는 멀웨어는 아니지만, 품질이 낮고 서비스가 유사한 가짜, 모방 앱을 일컫는다. 무료 서비스로 고객을 우선 확보한 후 기간이 지나면 월간 또는 연간 구독료를 부과하는 수법을 사용해 수익을 노리는 앱이다.

오픈AI의 챗GPT 서비스를 가장한 가짜 AI 앱이 늘고 있다 [사진: 구글 플레이스토어]
오픈AI의 챗GPT 서비스를 가장한 가짜 AI 앱이 늘고 있다 [사진: 구글 플레이스토어]

사이버 보안 회사 소포스(Sophos)는 챗GPT를 기반으로 운영한다고 과장한 플리스웨어 앱 다수를 최근 확인했다고 전했다. 소포스가 제안한 삭제해야 할 플리스웨어 앱은 챗GBT, 지니(Genie), GAI 어시스턴트(GAI Assistant), AI 챗 GBT(AI Chat GBT), 지니 AI 챗봇(Genie AI Chatbot), AI 챗봇(AI Chatbot) 등이다. 

이러한 앱들은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기능을 유료 서비스로 변경하라는 광고를 지속해서 보내고 있다. 또한 앱 개발자들은 가짜 리뷰를 올리고, 부정적인 사용자 리뷰는 숨긴다.

애플과 구글은 해당 앱들을 신고했으며, 일부 앱들은 삭제됐다. 단기간 무료 구독 서비스를 삭제하지 않으면 앱을 제거한 후에도 요금이 청구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들은 플리스웨어 앱에서 먼저 구독을 취소한 후 앱을 지워야 한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