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단장 [사진:디지털투데이]
박상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단장 [사진:디지털투데이]

[디지털투데이 강주현 기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국내 블록체인 업체 중 코스닥 상장사가 나올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5일 밝혔다. 

서울 강남구 섬유센터에서 개최된 '블록체인 밋업 컨퍼런스'에 참석한 박상환 KISA 블록체인 진흥단장은 이같이 말했다. 그는 '블록체인 주요 정책 성과 및 향후 계획'을 주제로 발표했다.

박 단장은 블록체인 수요·공급자 협의체(에이블)을 확장 운영해 이같은 성과를 배출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에이블 참여 기업은 32개인데 올해 70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는 블록체인 기술 도입 및 사업연계 희망 기업, 기관과 공급 기업 간 정보 동향 공에 그치고 있지만 이를 넘어 가업 투자로 이어지도록 이끌겠다는 방침아다. 

또 블록체인 및 핀테크 기업 컨설팅을 진행해 국내 블록체인 기술 업체 중 최초로 코스닥 상장 업체가 나오도록 지원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KISA는 앞서 블록체인 기술 업체들을 상대로 코스닥 상장 기술모의특례평가를 진행한 바 있다. 이를 통해 블로코, 파라메타 등의 일부 블록체인 기업이 A등급을 획득하고 현재 코스닥 상장을 추진 중이다. 

그외 KISA는 2023년 블록체인 중점 추진 과제를 발표했다. KISA는 사업 예산을 늘리고 과제 수는 줄여 중대형 블록체인 프로젝트 발굴에 집중할 계획이다. 대형 프로젝트는 3개로, 중형 프로젝트는 지난해 5개에서 9개로 늘렸다. 

올해 KISA는 블록체인 공공·민간 지원사업 예산 규모를 작년 189억원에서 올해 207억원으로 확대한다. 사업당 예산 규모는 집중사업은 30억원으로, 확산사업은 13억원으로 책정됐다.  사업 수는 지난해 24개에서 올해 12개로 축소됐다. 

KISA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블록체인 신뢰 프레임워크(K-BTF)를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럽이나 중국에는 국가 차원에서 지원하는 블록체인 프레임워크가 있는 데 반해 우리나라에는 없어 블록체인 간 상호 운용이나 연동이 어렵고 중복 투자가 가능하다는 우려가 있다.

이에 공공기관등이 손쉽게 블록체인을 운영하고 서로 다른 블록체인 간 상호운용을 지원하기 위해 K-BTF를 단계적으로 정립할 계획이다. 수요 높은 블록체인 핵심 서비스 모델을 정립하고 서비스 모델 별로 필요한 블록체인 필수 기능, 보안, 상호운용 시 공통 요구사항 정의 기준을 마련해 올해 실행 로드맵을 만들 예정이다. 

민간 블록체인 기술 업체와 인프라 및 장기적 거버넌스를 적용하기 위해 연구도 병행할 예정이다. K-BTF를 제도화하기 위해 과기정통부를 중심으로 운영하는 거버넌스 협의체를 구성해 민관이 함께 운영 기술, 대체불가토큰(NFT)과 분산신원증명(DID), 블록체인 확장성 등의 정책 연구를 진행한다. 

또한 각 지역 별로 블록체인 기술혁신지원센터를 구축할 방침이다. 지난해 지자체 공모 결과 부산에 블록체인 기술혁신지원센터를 설립했다. KISA는 올해 기술혁신지원센터를 하나 더 설립하고 2024년까지 총 3개소를 설립할 계획이다. 현재 기술혁신지원센터 설립을 위한 공모를 진행 중이다. 최근 인천시가 블록체인 기술혁신지원센터 유치에 도전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NFT, 토큰증권(STO) 등 국내 기업의 블록체인 기술, 보안 경쟁력 행상 지원을 위해 블록체인 기술 신뢰성 검증 사업도 진행한다. 먼져 10개 서비스 신뢰성 검증에 나설 계획이다. 제도화를 위한 정책 연구도 병행하고 국민과 기업 인식 제고를 위해 블록체인 활용-확산 포털을 구축할 예정이다. 

또 올해 NFT 법적 성격 정립 등을 진행해 국무조정실 등 주무부처와 규제혁신 로드맵을 만든다. 로드맵에는 NFT 보안, 법적 이슈 등을 포함한다. 올해 9월 경에 규제혁신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그 외 KISA는 1000명의 블록체인 기술 인재 양성 사업, 국내 블록체인 기업 해외 진출 지원, 블록체인 한계를 극복하는 핵심·융합 기술 개발 계획 등을 밝혔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