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을 둘러싼 해킹 위협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사진: 셔터스톡]
가상자산을 둘러싼 해킹 위협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가상자산을 노린 해킹 위협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국가정보원과 국가보안기술연구소는 지난달 30일 서울 웨스턴 조선호텔에서 ‘북한 가상자산 탈취 공격 대응 전략’을 주제로 ‘사이버안보 정책포럼’을 공동 개최했다.

⦁ 국정원-국보연, 북한 가상자산 관련 ‘사이버안보정책포럼’ 개최

국정원과 국보연은 북한의 가상자산 탈취 등 사이버 위협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정부의 정책추진 동향’을 국민에게 알리고 정책보완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이번 사이버안보정책포럼 개최를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이 행사에서는 북한의 가상자산 탈취 의혹이 제기됐다. 호명규 채이널리시스코리아 상무는 “오일러 파이낸스에서 탈취된 가상자산의 일부가 라자루스로 흘러가는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 “최근 오일러 파이낸스 2억달러 해킹 북한 개입 가능성”

지난 3월 13일(현지시간) 오일러 파이낸스가 플래시론 공격으로 1억9700만달러(약 2600억원)을 탈취당한 사실이 외신 등을 통해 알려졌다. 

호명규 상무는 “아직 수사가 진행 중이기 때문에 단정하기 어렵다”면서도 “조사 과정에서 탈취된 가상자산 일부가 라자루스 그룹 주소로 흘러간 것으로 보인다. 북한 해커들의 개입 가능성을 두고 모니터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라자루스 그룹은 북한의 해커 그룹으로 알려져 있다. 호 상무는 리퀴드닷컴 해킹, 액시 인피니티/로닌 브릿지 해킹, 하모니/호라이즌 브릿지 해킹 등이 북한의 소행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

또 북한 해커가 클라우드 채굴 서비스를 이용해 훔친 가상자산을 청소하고 있다는 보고가 나왔다.

지난 29일(현지시간) 디크립트 등 외신에 따르면, 구글 계열사인 사이버 보안회사 맨디언트(Mandiant)는 북한의 새로운 해커 그룹인 APT43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 북한, 암호화폐 해킹에 클라우드 채굴 통한 세탁까지

APT43은 외국 정부기관이나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해킹뿐만 아니라 해킹으로 확보한 가상자산을 세탁하기 위해 클라우드 채굴 서비스까지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창펑자오 바이낸스 대표 [사진:바이낸스]
창펑자오 바이낸스 대표 [사진:바이낸스]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와 창펑자오 바이낸스 최고경영자(CEO)를 상대로 파생상품 등 관련 규정 위반 혐의로 27일(현지시간) 소송을 제기했다. 

⦁ 바이낸스 이번엔 파생상품법 위반 혐의로 피소

바이낸스는 등록되지 않은 암호화폐 파생상품 제공과 필수적인 신원 확인 절차 미이행, 미국 규제를 회피하기 위한 조직 구성, 미국 기반 고객의 준수 시스템 회피 등의 혐의를 받고 있다.

⦁ 바이낸스 대표 "CFTC 기소 혐의 사실무근"

한편 창펑자오 바이낸스 대표는 입장문을 통해 미국 선물상품거래위원회(CFTC)가 제기한 혐의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부인했다. 28일 창펑자오 대표는 바이낸스 블로그를 통해 밝힌 입장문에서 "초기 검토 결과 CFTC가 제기한 고소장의 많은 문제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블록체인을 신성장동력으로 삼은 국내 게임사들이 너도나도 ‘폴리곤’과의 협업을 발표하고 있다. 

⦁ 블록체인 생태계 '폴리곤'에 빠진 국내 게임사들...왜?

네오위즈, 넥슨, 네시삼십삼분 등 후발주자로 불리는 국내 게임사들이 잇따라 폴리곤과의 협업을 택해 눈길을 끈다. 폴리곤의 블록체인 생태계에 합류하거나 기술적 협업을 통해 자사의 게임 플랫폼을 만드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마르코 코바치 몬테네그로 법무장관 [사진: 몬테네그로 정부]
마르코 코바치 몬테네그로 법무장관 [사진: 몬테네그로 정부]

29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더블록 등 외신에 따르면, 마르코 코바치(Mark Kovac) 몬테네그로 법무부 장관이 "권도형은 국제 범죄인 인도 절차 전에 몬테네그로 감옥에서 우선 형을 보내야 한다"고 밝혔다.

⦁ 권도형 한미 송환 경쟁 속 "몬테네그로 복역 먼저 마쳐야"

몬테네그로 당국에 따르면,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와 한창준 전 차이코퍼레이션 대표는 지난 23일 포드고리차 공항에서 코스타리카, 벨기에 위조 여권으로 두바이행 비행기에 탑승하려다 여권법 위반으로 체포, 구금됐다. 초기 구금 기간은 72시간에서 30일로 연장됐다.

금융감독원이 올해 상반기 가상자산 관련 세미나 12건을 개최하고 관련 역량을 키우는 데 집중한다. 

⦁ 금감원, 가상자산 파고든다…올 상반기 관련 세미나 12건 개최  

28일 금감원은 가상자산 입법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법안 통과 후 실효성 있는 감독을 위해 감독당국이 가상자산 전반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갖추기 위해 관련 세미나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 세미나를 통해  금감원은 가상자산을 담당하지 않는 일반 감독·검사 담당자들도 가상자산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할 방침이다.

금융위원회가 지난해 5대 원화마켓 거래소(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에 자금세탁방지 위반으로 과태료 4억9200만원을 부과했다.

⦁ 금융위, 지난해 5대 가상자산 거래소에 과태로 5억 부과

30일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은 이같은 내용을 포함해 지난해 5대 거래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 의무 이행에 관한 현장 검사 결과를 공개했다.

FIU는 제재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자금세탁방지 위반 거래소에 기관주의와 과태료, 임직원에 대한 견책, 주의 등 조치했다. 

[사진:페이코인]
[사진:페이코인]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 5개 원화마켓 거래소가 결성해 만든 디지털 자산 거래소 협의체(DAXA, 닥사)가 가상자산 간편 결제 서비스 페이코인 상장 폐지를 결정했다고 31일 밝혔다. 

⦁ 업비트·빗썸·코인원, 페이코인 상장 폐지 결정

닥사 회원사 중 페이코인을 거래 지원 중인 업비트, 빗썸, 코인원은 4월 14일 오후 3시부로 상장 폐지한다고 공지했다. 

업비트는 지난 1월 6일 페이코인에 대하여 페이코인 측이 실명확인 입출금계정(실명계좌) 발급에 실패하고 및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의 가상자산 사업자 변경 수리 여부에 불수리 통보한 사실을 확인했다.

카카오 블록체인 기술 계열사 그라운드엑스가 자체 디지털 자산 지갑 ‘클립(Klip)’ 앱을 전면 개편했다.

⦁ 그라운드엑스, 가상자산 지갑 클립 앱 전면 개편

클립은 클레이튼과 이더리움 기반의 토큰과 대체불가토큰(NFT)을 보관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 지갑 서비스이다. 지난해 7월 앱으로도 출시돼 앱과 카카오톡을 통한 사용이 가능하다. 새로운 클립 앱은 직관적이고 유저 친화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나스닥이 올해 2분기 내 가상자산 수탁 서비스 출시를 추진한다. 지난 24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나스닥은 뉴욕 금융감독청에 가상자산 수탁 서비스 감독 목적의 신탁 회사 자격을 신청했다.

⦁ 나스닥 "2분기 중 가상자산 수탁 서비스 출시"

이라 아우어바흐 나스닥 수석 부사장 겸 디지털 자산 책임자는 "가상자산 수탁 서비스 출시 관련 필요한 인프라와 규제 승인을 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더리움 재단이 이더리움 샤펠라(Shapell) 업그레이드 일시를 오는 4월 12일로 예정했다.

⦁ 이더리움 재단, 샤펠라 업그레이드 4월 12일 예정

이더리움 재단은 온라인 공지를 통해 샤펠라 업그레이드가 네트워크 에포크 19만4048회에서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더리움에서의 에포크는 네트워크에서 32개의 블록을 묶은 것을 의미하며, 이번 에포크는 미국 동부 시간(EDT) 기준으로 4월 12일 오후 6시 27분경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비트렉스 [사진: 비트렉스]
비트렉스 [사진: 비트렉스]

미국 암호화폐거래소 비트렉스가 미국에서 운영을 중단하기로 했다고 디크립트가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 암호화폐거래소 비트렉스, 규제 불확실성 이유로 미국 서비스 중단

이에 따라 미국 비트렉스 사용자들은 4월 14일까지만 거래 가능하며,  4월 30일까지 자금을 인출해야 한다. 비트렉스는 미국 밖 투자자들에 제공하는 비트렉스 글로벌 플랫폼은계속 운영할 계획이다.

영국 정부는 30일(현지시간) 재무부와 내무부에서 발표한 정책문서를 통해 경제 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암호화폐 자산을 강력하게 규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영국, 암호화폐 규제 계획 발표 '경제 범죄 단속 강화'

이러한 조치는 2023년부터 2026년까지의 영국 정부의 경제 범죄 단속 계획의 일환이다. 법적 절차를 통해 범죄에 사용된 암호화폐 자산을 압수하는 것은 물론 단속 강화를 위해 수사기관 간의 협력과 공조를 보강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